'2012/06'에 해당되는 글 83건

  1. 2012.06.18 [정보] The Dark Eye : Chains of Satinav
  2. 2012.06.18 [정보] 토탈 오버도스 (Total Overdose)
  3. 2012.06.12 [정보] 파이널 판타지 8 오프닝 Liberi Fatali (Final Fantasy 8) /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I / FINAL FANTASY VIII
  4. 2012.06.12 [정보] 파이널 판타지 8 (Final Fantasy 8) /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I / FINAL FANTASY VIII
  5. 2012.06.12 [정보] 디스크 스테이션 / ディスクステーション / DISC STATION
  6. 2012.06.12 [정보] 센티멘탈 그래피티 2 /センチメンタルグラフティ2 / Sentimental Graffiti 2
  7. 2012.06.12 [정보] 두근두근 메모리얼 forever with you / 도키메키 메모리얼 / ときめきメモリアル
  8. 2012.06.12 [정보] 그로우 랜서 / グローランサー / GROWLANSER
  9. 2012.06.12 [정보] 스피리추얼 소울 2 : 푸른눈의 정령사 / Spiritual Soul 2
  10. 2012.06.12 [정보] 스피리추얼 소울 1 / Spiritual Soul
  11. 2012.06.12 [정보] 파워돌4 / POWER DoLLS4 ~Detachement of Limited Line Service~
  12. 2012.06.12 [정보] 파워돌3 / POWER DoLLS3 ~Detachement of Limited Line Service~
  13. 2012.06.12 [정보] 파이팅 대운동회 バトルアスリーテス 大運動会
  14. 2012.06.12 [정보]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 (Command & Conquer : Red Alert 3)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 : 업라이징 (Command & Conquer : Red Alert 3 - Uprisings)
  15. 2012.06.12 [정보] 커맨드 앤 컨커3 : 타이베리움 워 (Command & Conquer : Tiberium Wars) / 커맨드 앤 컨커3 : 케인의 분노 (Command & Conquer : Kane's Wrath)
  16. 2012.06.12 [정보] 퀘이크 2 (Quake 2)
  17. 2012.06.12 [정보] 퀘이크 1 + 미션팩 + 모드 (Quake 1)
  18. 2012.06.12 [정보] Tiger Woods PGA TOUR 08
  19. 2012.06.12 [정보] E3 2012년 출품게임
  20. 2012.06.09 [정보]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저녁2: 스톰 (STORM) / 어쩐지 저녁 2
  21. 2012.06.09 [정보] 도쿄야화 2 : 19세의 비망록 / TOKYO 夜花 2
  22. 2012.06.09 [정보] 도쿄야화 : 질풍고교 / TOKYO 夜花
  23. 2012.06.09 국내 패키지 게임개발사들의 운명
  24. 2012.06.09 국산 게임 연표
  25. 2012.06.09 [정보] 아트리아 대륙전기 2 : 부활 / Atria II - The Ressurection / 아트리아2: 부활
  26. 2012.06.09 [정보] 스카이 드리프트 (SkyDrift)
  27. 2012.06.09 [정보] 다케다 3 (Takeda 3) / 武田信玄 III / 다케다 신겐3
  28. 2012.06.08 [정보] 무인도 이야기 4 / 無人島物語
  29. 2012.06.08 [정보] 미드가드 (Midgard)
  30. 2012.06.08 [정보] 스타토피아 (StarTopia / 2001/ Mucky Foot Productions)

 

 

 

 

 

 

 

 

 

 

 

<게임 사양>
 
Processor: Pentium 4 2.4GHz
OS: Windows Xp 32
Graphic: GeForce 205, Radeon HD 4290, Sempron 2200+
RAM: 1.5GB
Directx: 9.0c
Hard Disk Drive: 5GB

 

제작 : Daedalic Entertainment
유통 : Deep Silver Game
발매 : 2012년 6월 22일

 

 

 

The Dark Eye Chains of Satinav.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게임 최소 사양>
Opeating System – Microsoft Windows 2000/XP (admin rights required)
CPU – Pentium 1.5 Ghz or faster processor or AMD Athlon XP (1400 Mhz)
RAM – 256 MB System Memory
Graphics – 100% DirectX 9 compatible 32meg Direct3D card with Hardware Transform and Lighting (TnL) support
Sound – 100% DirectX 9 compatible Sound Card
CD-Rom – Optical Drive CD-Rom Drive
Hard Drive – 360mb free space for minimum CD-Rom install
Input Devices – Keyboard or Gamepad


 
<게임 권장 사양>

CPU – Pentium 2 GHz or Athlon XP equivalent
RAM – 512 MB
Graphics – 100% DirectX 9 compatible Direct3D card with Hardware Transform and Lighting (TnL) and 64MB video RAM
Sound – 100% DirectX 9 compatible sound card
 

Total Overdose.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FF8 오프닝 테마 운명의 아이들

 

Liberi Fatali

 

Fithos lusec wecos vinosec
Fithos lusec wecos vinosec
Fithos lusec wecos vinosec

 

Excitate vos e somno, liberi mei
(Arise from your sleep, my children)
- 잠에서 깨어나세요, 나의 아이들

 

Cunae non sunt
(Your cradles shall no longer exist)
- 당신들의 요람은 이제 없답니다

 

Excitate vos e somno, liberi fatali
(Arise from your sleep, children of Fate)
- 잠에서 깨어나세요, 운명의 아이들

 

Somnus est non.
(Abandon your cradles)
- 당신들의 요람을 버리고서

 

Surgite Inve
(Arise)
- 일어나세요

 

Inventite hortum veritatis *
(Discover the garden of Truth)
- 진실의 정원을 밝혀내요

 

Ardente veritate
(Brilliant truth)
- 빛나는 진실은

 

Urite mala mundi
(Burn the heavens of evil)
- 악의 하늘을 불태워요

 

Ardente veritate
(Burning truth)
- 불타는 진실은

 

Incendite tenebras mundi
(Set ablaze the heavens of darkness)
- 어둠의 하늘에 불을 질러요

 

Valete, liberi
(Prevail, children)
- 이겨내세요, 아이들

 

Diebus fatalibus
(Fated day)
- 운명의 날을

 

Fithos lusec wecos vinosec
Fithos lusec wecos vinosec
Fithos lusec wecos vinosec

 

 

* "Fithos lusec wecos vinosec"은 '마녀의 사랑과 계승'의 라틴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그 어떤 언어도 아니다.

Succession of witches(마녀의 계승)이란 구절의 단어 한자 한자를 위의 Fithos lusec wecos vinosec 구절에서 지워가면 결국 "LOVE" 네 글자만이 남는다.

 

게임의 스토리와 주제를 함축한 일종의 아나그램.

 

몇몇 팬들은 이것이 리노아 알테미시아설의 설득력을 높여준다고 주장한다.

Posted by 롤링다이스
,

 

 

 

 

 

타케이테아시...

 

 

 

 

 

 

 

 

 

 

 

Eyes On Me

노래: 왕정문

 

Whenever sang my songs / On the stage, on my own
홀로 무대 위에서 노래를 부를 때마다,

Whenever said my words / Wishing they would be heard
다른 이들에게 전해지길 바라며 가사를 읊을 때마다

I saw you smiling at me
당신이 나에게 미소 짓는 것을 보았죠

Was it real or just my fantasy
그건 현실이었나요, 아니면 나의 환상일 뿐이었나요?

You'd always be there in the corner / Of this tiny little bar
당신은 항상 이 작은 술집의 구석에 있었어요

My last night here for you
이곳에서 당신을 위한 나의 마지막 밤

Same old songs, just once more
예전과 같은 그 노래를, 다시 한번만…

My last night here with You?
정녕 이곳에서 당신과 함께할 마지막 밤이 될까요?

Maybe yes, maybe no
어쩌면 그럴지도, 어쩌면 아닐지도 모르죠.

I kind of liked it your way / How you shyly placed your eyes on me
난 당신이 나를 수줍게 바라보던 그 눈빛을 좋아했어요

Oh, did you ever know / That I had mine on you?
아, 당신도 알고 있었나요? 나도 당신을 바라보고 있었다는 것을…

## CHORUS 1 ##

Darling, so there you are
그대여, 그래서 그곳에 있는 거군요

With that look on your face
As if you're never hurt / As if you're never down
얼굴에는 마치 결코 상처받은 적도, 결코 좌절한 적도 없는 것 같은 표정을 띤 채

Shall I be the one for you / Who pinches you softly but sure
내가 당신을 위해 살짝, 하지만 확실히 당신을 꼬집을
유일한 사람이 될 순 없을까요?

If frown is shown then
만약 당신이 찡그린다면

I will know that you are no dreamer
나는 당신이 꿈을 꾸고 있는 게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을 거에요

VERSE 2

So let me come to you
그러니 당신에게 다가갈 수 있게 해주세요

Close as I wanna be
내가 원하는 만큼 가까이…

Close enough for me / To feel your heart beating fast
내가 당신의 심장이 빠르게 고동치는 것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가까이 말이에요

And stay there as I whisper
그러면 그곳에 머물 거에요

How I loved your peaceful eyes on me
당신이 날 바라보는 평화로운 눈빛을 얼마나 사랑했는지 속삭이면서

Did you ever know / That I had mine on you?
당신도 알고 있었나요? 나도 당신을 바라보고 있었다는 것을…

## CHORUS 2 ##

Darling,so share with me
그대여, 그러니 나와 함께 나눠주세요

Your love if you have enough
당신이 충분히 가지고 있다면, 사랑을

Your tears if you're holding back
당신이 참고 있다면, 눈물을

Or pain if that's what it is
그것이 고통이라면, 고통을요

How can I let you know / I'm more than the dress and the voice?
어떻게 해야 당신에게 이 드레스와 목소리가 나의 전부가 아니라는 사실을
알려줄 수 있을까요?

Just reach me out then
그저 나에게 다가오세요

You will know that you're not dreaming
그렇다면 당신이 꿈을 꾸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될 테니까요


Darling,so there you are
그대여, 그래서 그곳에 있는 거군요

With that look on your face
As if you're never hurt / As if you're never down
얼굴에는 마치 결코 상처받은 적도, 결코 좌절한 적도 없는 것 같은 표정을 띤 채

Shall I be the one for you / Who pinches you softly but sure
내가 당신을 위해 살짝, 하지만 확실히 당신을 꼬집을
유일한 사람이 될 순 없을까요?

If frown is shown then
만약 당신이 찡그린다면

I will know that you are no dreamer
나는 당신이 꿈을 꾸고 있는 게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을 거에요


 

우에마츠 노부오가 지휘하는 "파이널 판타지"

 

엔딩

 

엔딩크레딧1

엔딩크레딧2

엔딩크레딧3

 

 

<게임 사양>
 
CPU: With 3D Accelerator Pentium 200MHz or equivalent
       (Pentium II 266MHz is recommended).
Video Card: 8MB Direct3D-compatible 3D accelerator for 3D hardware accelerator. 
                4MB SVGA Video Card for software rendering.
Sound Card: DirectMusic and DirectSound compatible sound card.
CD-ROM: 8X CD-ROM
Memory: 32MB of RAM (64MB is recommended)
DirectX:Microsoft DirectX 6.1 or later
HDD Space: at least 300MB
 
FINAL FANTASY VIII


제작사는 스퀘어. 1999년 2월에 플레이스테이션으로 발매된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8번째 작품.

북미에서는 EIDOS, 국내에는 삼성소프트에서 International 영문판을 PC로 컨버전하여 정식발매했다. 


파이널 판타지 7의 성공에 힘입어 더욱 화려한 그래픽과 신 시스템을 들고 나왔으며, 일본 내의 판매량은 369만장으로 파판 시리즈 최고의 판매량(일본내)이자 플스 시리즈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판매량을 보였다(1위는 드래곤 퀘스트 7). 세계적으로는 800만장 이상 팔렸다. 국내에는 PC용 영문판 7편을 유통했던 삼성전자에서 역시 PC용 영문판으로 정발했다. SCEK 설립 전이라 국내에 들어온 플레이스테이션이 대부분 밀수입 된 제품이었던 것이 원인.


전 세계로부터 시리즈 최대의 주목성을 보여줘 일본 게임의 절정기임을 유감없이 보여줬던 게임이다. CD 4장에 걸쳐 구석구석 삽입된 발전된 동영상과 헐리우드와의 연계, 200인 제작체계 등에 시리즈 최초로 "테마곡"을 삽입하여 기합을 넣고 제작되었으며, 전작인 7편의 성공요인중 하나인 캐릭터들의 개성에 더욱 집중하여 2차창작계에서도 폭풍같은 인기를 얻었다.


국내에서도 대단히 많이 회자되어 파이날 판타지 8의 뮤직 비디오는 당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던 사람이라면 안본사람을 찾는게 더 어려울 정도이고, 수많은 미디어에서 일본의 게임을 언급할때, 게임산업의 장래성을 언급할때마다 등장하는 단골 비디오가 되었으며, 주제가인 Eyes on Me는 일본에서 골든 디스크까지 수상한데다 국내에서도 공중파에서 거론될 만큼 대성공이었다.

 

반면 FF8은 비주얼에 너무 집착했다는 평가와 함께 많은 신규 팬과 안티가 동시에 생겨난 문제작이기도 하다. 게임 자체는 상업적으로 대단히 성공하였고, 당시 스퀘어는 이러한 결과에 굉장히 고무받아 후속작의 방향을 비주얼 우선으로 잡게 된다. 그러나 이는 결국 게임성, 즉 게임의 본질적인 재미를 점점 소홀하게 만들어 게임의 지나친 투자와 저평가를 가져오게 되었고, 끝내는 영화 파이널 판타지라는 최악의 악수를 두어 회사의 존립기반이 흔들리게 만든 어두운 면이 있는 게임이기도 하다.

 

Final Fantasy Online : http://www.ffonline.com

Unofficial Final Fantasy Site : http://www.uffsite.net
파판랜드 : http://www.ffland.net
파판 시리즈의 설정 : http://ffner.egloos.com

FFVIII.part1.rar

 

FFVIII.part2.rar

Posted by 롤링다이스
,

 

 

 

 


제1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2호와 유사함)
마도전기 ~ 엉망진창 기말고사 ~
데빌포스3 ~ 검과 꽃다발 ~
환세쾌진극
봄버 고고! ~ 점프 히어로 외전 2 ~
애플소스 ~ 스나이퍼 ~
퍼즐뿌요

 

제2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4호와 유사함)
환세취호전
루루의 철권 봄방학
엘도라도
원숭이의 천국 2
퍼즐뿌요
뿌요빵 먹는 카방클
너구리 레이스

 

제3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5호와 유사함)
플로트랜드 스토리
마도전기 ~ 마도사의 탑 ~
대해선
스타파이터 3000!(두 번째 CD에 수록되어 있다. DS 3호는 한국어판 DS 중 유일하게 CD가 두장이다.)
애플소스 ~ 도전! 우주영웅 ~
점프 히어로 외전 3
퍼즐뿌요
옵션 몬스터 MINIMUM

 

제4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6호와 유사함)
지오컨플릭트 3 ~ Hell's Gate Crusaders ~
파이팅! 에이스맨 전편
Go! Go! IVAN!
애플소스 ~ 앵글러 ~
애플소스 ~ 숲속의 크리스마스 ~(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9호에 수록된 작품의 컬러 리메이크작. 참고로 PC98용 DS의 애플소스는 단색 그래픽이다.)
퍼즐뿌요
슈퍼 액션 퍼즐 너구리
대해선 in Bazzar
보물찾기

 

제5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7호와 유사함)
마도전기 ~ 엘리시온의 비밀 ~(한국 KCT Media에서 제작한, 한국어판 DS에만 존재하는 게임. 원래 일본어판 DS에도 수록될 예정이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수록되지 못했다.)
도전! 뿌요림픽
브릿츠런너
배드민턴 카방클
퍼즐뿌요
환세희담 외전 ~ 궁극의 에로문서 전설 ~ 전편(게임이 아닌, 인터렉티브 무비이다.)
마블 퍼트 골프J

제6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8호와 유사함)
세리리의 해피버스데이
파이팅! 에이스맨 후편
옵션 몬스터 LIGHT(한국어판 DS에서는 유일하게 네트워크 대전에 대응하는 게임이다.)
폴리폴리! 스피드 대작전(한국어판 DS에서는 유일하게 3D 렌더링 그래픽을 사용한 게임이다.)
퍼즐뿌요
환세희담 외전 ~ 궁극의 에로문서 전설 ~ 후편
도전! 뿌요림픽 in Bazzar

 

제7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19호와 유사함, 따로 판매되지 않았으며 게임잡지인 게임마니아의 창간호에 수록됨.)
애프터 데빌포스 ~ 미치광이 왕의 후계자 ~(일본에서는 패키지로 발매되었다.)
미스틱 아츠
슈퍼 액션 퍼즐 너구리
애플소스 Journey
퍼즐뿌요

 

제8호(서적 타입의 일본어판 디스크스테이션 21호와 유사함, 게임잡지인 게임마니아 2호에 수록됨. 2001년에 7호와 함께 묶여서 7+8호라는 이름으로 발매됨.)
지오 컨플릭트 어드벤처 ~ 고독한 정령 ~
Run! Run! IVAN!
애플소스 ~ 우리들의 무인도 ~
퍼즐뿌요 에디터
세가 새턴용 마도전기 미니 자바 게임

 

DS.zip

'IBM-PC Gam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추천 고전게임 50선  (0) 2012.09.13
[정보] Good Old Games Pack - GOG  (0) 2012.09.13
[정보] E3 2012년 출품게임  (0) 2012.06.12
국내 패키지 게임개발사들의 운명  (0) 2012.06.09
국산 게임 연표  (0) 2012.06.09
Posted by 롤링다이스
,

 

 

 

 

 

NEC에서 제작한 미연시와 이를 포함한 미디어믹스 기획의 총칭.

 

오프닝과 동시에 전작 주인공의 장례가 치러지는 파격적인 전개가 벌어진다. 그리고 거기에서 히로인들은 서로 만나게 된다. 2편의 주인공이 이런 히로인들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새로운 사랑을 이루어 나가는 이야기가 주가 된다.

 

 

Sentimental Graffiti 2.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도키메키 메모리얼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으로 유희왕과 더불어 코나미가 대기업 수준의 회사로 발돋움할 수 있게 해 준 작품. 전연령 미연시의 시초로 불린다. 특정 수치에 따라 호감 대상이 달라지는 패러미터 시스템은 이 게임에서 최초로 도입했다

 

DOKIMEKI.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그로우 랜서 OP 여자보컬ver

 

그로우 랜서 OP 남자보컬ver

 

1999년11월25일에 PS로 발매된 그로우 랜서 시리즈의 최초작품.

ATLUS의 SRPG 게임으로, 실제 제작은 랑그릿사 시리즈로 유명한 캐리어 소프트.

 

17세가 된 주인공이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해 동료들과 여행을 떠나는 전형적인 요소를 담고 있지만 후반에 밝혀지는 반전요소로 인해 그로우 랜서 시리즈 중에서는 스토리의 스케일이 크고 스토리 완성도도 높은 작품.

 

국내에서 PC용으로 한글화가 되었는데 패키지없이 처음부터 쥬얼로만 발매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CD의 용량의 게임을 1CD로 압축해서인지 그래픽도 다운그레이드가 되었으며,음성도 삭제가 되었다. 또한 한글화한것 치고는 오역이 엄청 많다.

 

2009년 05월14일에 PSP로 이식되었다. 추가 캐릭터가 등장하며, PSP용 전용 스토리도 추가되었다.

 

 

GROWLANSER.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1999년 Shuwa System에서 제작된 롤플레잉 게임, 스피리추얼 소울의 후속작.

 

전작에 비해 주인공 수가 줄어든 대신 스토리적 면이 강화되고 주인공들끼리 스토리상 접점이 훨씬 증대되고 서로간의 관계도 보다 밀접해졌다. 1에서는 각 주인공들이 각자 서브 캐릭터를 따로 데리고(혹은 없이) 서로에게 최후반부에나 제대로 접촉하고 같이 싸우지도 않는 데 비해 2에서는 서브 캐릭터는 후반에나 합류하고 두 주인공이 초중반부터 합류해 함께 싸워가며 긴밀한 관계를 엮어간다. 정령의 종류도 보다 다양해지고 합성할

때에도 약간 편의가 도모되었다.

Spiritual Soul.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1998년 Shuwa System에서 제작된 롤플레잉 게임.  국내에서는 정발되기도 하고 1, 2 모두 한때 모 게임 잡지 부록으로 붙어나온 덕에 더 퍼졌다.

밴티지 마스터의 아류작이지만 이쪽이 더 인기있고 유명하다.

 

정령과 인간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세계 ‘하이랜드’를 배경으로, 본디 평화로이 조화를 이루던 정령들이 무언가에 두려움에 떨며 미쳐 날뛰는 이변이 일어나자 주인공들이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여행에 나서는 이야기이다.

 

 

Spiritual Soul.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POWER DoLLS4 (2000)

옴니연방과 사이펠트 공화국의 정전협정으로 싸움은 일시 종결을 맞았지만, 이는 한때의 평화에 지나지 않았다. 수개월 후, 사이펠트가 협정을 파기하고 다시 국경을 침공하면서 전쟁은 계속된다.

 

기본적으로는 3의 시스템을 계승. 여기에 소대대형·자동공격 설정과 같은 자잘한 새 시스템과 더불어 무기와 능력치 등의 밸런스가 조정되고, 미션에 제약사항이 늘어나면서 난이도는 전작에 비해 많이 상승하였다(고 해도 3이 지나치게 쉬웠을 뿐). 전체적으로는 균형이 잘 잡힌 하프리얼타임 시뮬레이션으로 높은 완성도를 갖추게 되었다.

 

일부 대원이 교체되었으며, 게임 후반에는 기존 파워로더와는 다른 계통의 기체인 X○-10 시리즈와 신병기가 등장하여 난이도 하락에 일조.

 

일본에서 발매될 때는 제작사 홈페이지에도 공지가 뜨지 않는 등 홍보조차 제대로 되지 않아서 한동안은 지명도가 매우 낮았으나, 이후 입소문이 퍼지고 후속작이나 블루 시리즈와 비교되면서 재조명을 받고 있는 타이틀.

 

•MISSION1 레프트 얼론(レフトアロ-ン)
•MISSION2 슬레지 해머(スレッジハマ-)
•MISSION3 폭스 테일(フォックステイル)
•MISSION4 테이크 더 A트레인(テイク·ザ·Aトレイン)
•MISSION5 루킹 플레이스(ル-キングプレイス)
•MISSION6 루트208(ル-ト208)
•MISSION7 디 알골(ザ·アルゴル)
•MISSION8 잭 오 랜턴(ジャック-オ'-ランタン)
•MISSION9 레드 데빌(レッドデビル)
•MISSION10 나이트 소일(ナイトソイル)
•MISSION11 노스 울프(ノ-ス·ウォルフ)
•MISSION12 그레이트 사이클론(グレ-トサイクロン)
•MISSION13 더 윌(ザ·ウィル)

 

POWER DoLLS.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POWER DoLLS.

 

일본 코가도 스튜디오에서 제작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슈발츠쉴트와 더불어 1990년대 코가도의 전략게임을 대표했던 장수 시리즈.

 

가까운 미래, 인류의 새 보금자리가 된 개척행성 '옴니'에서 벌어지는 전쟁을 배경으로, 플레이어는 파워 로더를 조작하는 여성으로만 구성된 특수부대 'DoLLS'를 지휘하여 구출, 잠입, 파괴공작과 같은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DoLLS'는 'Detachement of Limited Line Service'(국지전 파견부대)의 줄임말.

 

PD2의 무대가 된 디어스 전쟁 종결 후 약 100여년. 옴니를 개척했던 구이민과 나중에 새로 지구에서 이주해 온 신이민 사이의 대립이 격화되고, 차별을 견디다 못한 신이민세력은 결국 '사이펠트 공화국'을 수립하고 독립을 선언한다. 내전으로 치닫는 옴니에서 새로운 멤버들이 펼치는 신생 DoLLS의 활약상

 

제작진이 전면교체되면서 전작까지 익숙했던 턴제 시스템을 과감히 탈피하여 하프리얼타임 시뮬레이션으로 변모하였다.

 

제작진에게도 익숙하지 않은 장르인 탓에 밸런스 조정에 문제가 있었는지 체감 난이도는 전 시리즈 가운데 최저. 싹 물갈이된 캐릭터나 100년 후라는 배경 설정에도 적지않은 무리가 있고, 기존 시리즈의 플레이어들에겐 생소한 리얼타임제 시스템, 덤으로 초기판(일본어판 기준)에는 극악한 버그까지 있어서, 2까지의 이른바 '초대' 팬들에게는 많은 비난과 반발을 사기도 했다. 일단 버그만 따져봐도 그레네이드로 헬기를 공격할 수 있는 등 갖가지 황당한 현상이 발견되어 팬들의 입방아에 올랐다.(한국 정발시에는 패치가 완료된 상태로 발매)

 

그러나 지금도 문제는 남아있다. 게임 자체의 문제라고 보기는 힘들지만 특정 운영체제(98SE 이후 버전 윈도우)에서 일부 미션이 끝난 뒤 강제종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해법이 있기는 한데 문제는 그 방법이란 게 '해당 부분을 넘어간 세이브 파일을 받아서 사용'하는 거라고….

 

격추수에 따른 진급과 계급에 의한 소대장 시스템이 추가되어,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를 우선적으로 밀어주는 캐릭터 게임의 경향이 짙어졌다. 게임화면에서 메뉴 어딘가에 멤버들의 개인 프로필과 자기 소개를 보고 들을 수 있는 숨겨진 버튼이 있다.(4에서도 화면의 특정 부분을 클릭하면 숨겨진 메뉴가 등장)

 

•MISSION1 프리 애로우(フリ-アロ-)
•MISSION2 어설트 시티(アサルトシティ-)
•MISSION3 디스트럭션(デストラクション)
•MISSION4 힐 클라임(ヒルクライム)
•MISSION5 바이러스 버스터(ウイルスバスタ-)
•MISSION6 브레이크 아웃(ブレイクアウト)
•MISSION7 데저트 스톰(デザ-トスト-ム)
•MISSION8 익스페리먼트 데이(エクスペリメントデイ)
•MISSION9 체크메이트(チェックメイト)
•MISSION10 카운터 어택(カウンタ-アタック)
•MISSION11 인비테이션(インビテ-ション)
•MISSION12 카운트 다운(カウントダウン)

 

POWER DoLLS.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분류: 육성 시뮬레이션
등급: 15세 이용가
제작: TGL
기종: PC(국내판), 세가 새턴, 플레이스테이션

 

소녀들만 입학할 수 있는 트레이닝 학교에서 아카리라는 소녀를 트라이애슬론에서 우승시켜 여성 올림픽급의 대회가 열리는 대학위성에 보내기 위해 교관으로서 그녀를 트레이닝 시키는 게임.

 

프린세스 메이커 비슷한 개념이지만 교관과의 결혼 엔딩같은 건 없다. PC판 엔딩에서 아카리가 고백할려고 하지만 교관이 적절하게 제지하면서 끝나고 아카리는 우주로 떠나가 떠나기전에 머리의 리본을 던진다. 그 리본이 교관에게 전해지는 엔딩.

 

국내에서는 PC판으로 한글 자막화, 우리말 더빙되어서 정발되었다. 박스판을 구매하면 캐릭터 엽서와 메모지를 부록으로 제공했다. 한글판에선 아카리의 샤워씬에서 브래지어를 덧입히는 약간의 수정이 있다. 하지만 그 밖에는 다른 여학생 엑스트라가 아카리에게 사랑한다고 고백한다든지, 그 밖에 다른 백합적 묘사는 수정되지 않고 나왔다.

대운동회.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 (Command & Conquer : Red Alert 3)

 

•출시일: 2008년 10월 28일
•유통사: EA 코리아
•개발사: EALA
•점수: 게임스팟 8.0/10, IGN 8.2/10
•기종: WIN, Xbox 360, PS3, MAC
•장르: 전략


EA 로스엔젤레스의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 제 3탄이자 RED ALERT시리즈 3탄. 확장팩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 업라이징도 나와있다.

 

2008년 10월 28일 발매했으며 플레이스테이션3, XBOX360으로 발매할 예정이며 그 중 XBOX360용은 2008년 11월 11일 이미 발매했고 플레이스테이션3용은 최초엔 개발취소라는 이야기를 했으나 C&C TV 관계자인 데이빗 실버맨은 개발을 하고있으며 하누카(봉헌절) 명단에 PS3가 있다면 굳이 XBOX360을 구입 고려 목록에 넣지않아도 된다는 언급으로 보아 연말 이전에는 내지않을까 추측하고있었으나 아쉽게도 해를 넘긴 2009년 3월 23일 발매.

 

레드얼럿3는 레드얼럿2로부터 이어지며 C&C TV에서 프로듀서 크리스 코리가 발표했는데, 레드얼럿3는 완전히 오리지널 C&C 시리즈와의 세계관 독립을 천명해서 과거 레드얼럿 1을 흑역사 스토리로 묻어버리게 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신작을 위해선 어쩔 수 없었던 수순이었다.

 

해상에 기지를 지을 수 있게 바뀌어 해상전도 중요해졌고 각 유닛마다 부가 스킬을 넣었다. 비슷한 방식이라면 EA에서 발매한 반지의 제왕 중간계 전투 II의 전투 방식과 상당히 흡사하다.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 : 업라이징 (Command & Conquer : Red Alert 3 - Uprisings)

Command & Conquer 시리즈중 커맨드 앤 컨커 레드얼럿3 스탠드 얼론 형태의 확장팩.

레드얼럿3가 연합군의 아슬아슬한 승리로 끝나고 소비에트는 두 지도자가 냉동보관된 채 저항세력으로 변하고, 욱일 제국은 요시로 황제가 사망하고 아들인 타츠 황자가 연합군에 붙는 설정으로 시작한다.

 

소비에트 연방, 연합군, 욱일군 각각 4개의 추가 미션이 생겼으며, 3진영 미션과 별도로 유리코의 비밀에 대해 알 수 있는 유리코 오메가 캠페인이 나왔다. 이 유리코 오메가 캠페인은 워크래프트 유즈맵 같은 RPG 비스무리한 스타일로 진행된다.

 

또한 도전 과제라는 게 등장하는데 제너럴 제로아워의 제네럴 챌린지 모드의 강화판으로 우주방어 후 슈퍼무기 도배 패턴으로 쉽게 가능하던 제너럴 챌린지와 달리 처음에는 기초유닛만 사용이 가능하며 클리어할 때마다 병기의 락이 풀린다. 각 도전 과제마다 전부 다른 상황이 제시되는데 상당히 멀쩡한 경우가 있는 반면 정신붕괴 수준의 상황이 제시되기도 한다.

 

각각의 도전 과제에는 제한시간이 있으나 필수 달성조건은 아니다. 도전 과제를 완수하면 해당 도전 과제의 유닛이 언락됨과 동시에 일정량의 자금이 주어진다. 이 자금을 일정량 모드면 도전 과제 진행중에 자금 지원을 발동시켜 다량의 자금을 일시에 확보할 수 있다. 단, 자금 지원을 사용하면 해당 도전 과제는 클리어 타임과 상관없이 단순히 클리어한것으로만 처리된다.

 

여담으로 유명 프로레슬러 릭 플레어가 연합군 장군역으로 캐스팅 되기도 하였다.

 

오직 싱글전용 확장팩으로 기획되어 RTS게임에서 멀티 플레이의 밸런스를 고려해야 하는 틀을 벗어난 자유분방한 유닛들이 추가되었다. 멀티와는 상관없다는 아쉬운 점을 조금이나마 해소할 수 있는 수단으로 오리지널 레드얼럿3에서 업라이징 유닛들을 멀티플로 사용할수 있게 해주는 '업히벌'모드가 나와 있다.

 

플레이 패키지로 게임 DVD를 구매하는것이 아닌 EA 스토어에서 무조건 다운로드 받아서 게임을 설치해야 한다.

 

 

RA3.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커맨드 앤 컨커3 : 타이베리움 워 (Command & Conquer : Tiberium Wars)

C&C3 Tiberium Wars

 

•원제 : Command & Conquer : Tiberium Wars
•출시일: 2007년 3월 28일
•유통사: EA 코리아
•개발사: EALA
•점수: 게임스팟 9.0/10, IGN 8.5/10
•기종: WIN, MAC, Xbox 360
•장르: 전략

 

2007년 EA 로스엔젤레스가 제작하고 EA가 발매한 두번째 커맨드 앤 컨커 시리즈이자 타이베리움 시리즈의 세번째 작품. 8년이라는 세월을 넘어 시리즈의 정통 후속작을 표방하고 나온만큼, 기존의 팬들에게 많은 우려를 받았지만 기대 이상의 게임으로 출시된 작품.

 

권장 사양은 펜티엄4 2.0 Ghz, AMD 2.00Ghz 이상의 CPU, 최소 512MB 이상의 램, 8배속 DVD롬,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 6.0GB 이상, Geforce 4 Ti, ATI Radeon 8500 이상의 그래픽 카드다. XBOX360과 매킨토시로도 발매되었다.

 

2007년 팔렸던 PC 게임 RTS 중 그나마 잘 팔렸다. 자막만 한글화가 되어 출시되었다.

확장팩으로 커맨드 앤 컨커3 케인의 분노가 있다.

 

 

커맨드 앤 컨커3 : 케인의 분노 (Command & Conquer : Kane's Wrath)
C&C3 Kane's Wrath

•출시일: 2008년 3월 24일(한국: 3월 27일)
•유통사: EA 코리아
•개발사: EALA, BreakAway
•점수: 게임스팟 7.5/10, IGN 7.9/10
•기종: WIN, Xbox 360
•장르: 전략


커맨드 앤 컨커3 타이베리움 워의 확장팩. 북미는 2008년 3월 24일 대한민국은 2008년 3월 27일 발매했다.

전체적인 스토리는 Act 1,2,3 세 단계로 나누어지며 주인공은 케인이 새롭게 구축한 리전이라 불리는 카발과 비슷한 인공지능 시스템. EVA와 헷갈려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EVA는 사령관을 서포트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고, 리전은 사람처럼 생각하고 지휘한다.

 

Act 1은 제2차 타이베리움 전쟁 패전 뒤 부활을 노리는 Nod의 관점으로 전개되며(미션 1~4), Act 2는 제3차 타이베리움 전쟁(미션 5~11), 그리고 마지막 Act 3는 제3차 타이베리움 전쟁 이후인 2052년으로 나뉜다.(미션 12, 13) 미션은 약 13개로 나누어져 있으며 이번 케인의 분노에서는 PC판은 '세계정복모드', Xbox 360판은 '케인의 도전'이라 불리는 새로운 플레이 모드도 추가되었다.

 

확장팩에는 아래와 같이 추가 유닛과 함께 하위 진영이 추가되었고, 본대도 존재하니, 결론적으로 9개의 진영이 존재하는 게임이다.

 

이런 방식은 커맨드 앤 컨커 제너럴 제로아워에서 사용했다가 여러가지로 말이 많았던 방식으로 그때의 실수를 바탕으로 이번에는 어느정도 진영간의 균형을 맞추었다. 제로아워와는 달리 따로 테크트리를 선택하는 방식이 아니라 스커미쉬 등에서 아예 하위진영으로 선택하는 방식, 그러나 세계 정복 모드에서는 부대의 편성에 따라 하위 진영 부대를 편성할 수 있다.

 

의외로 인공지능이 상당히 발달해 있는데 숙련된 게이머라도 최고 난이도 설정의 컴퓨터를 상대하기에는 좀 버거운 느낌이라고 할 정도이다.

 

C&amp;C3.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이드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한 FPS 게임.

 

퀘이크 시리즈 중 두 번째 작품으로, 1997년 12월 9일에 PC판이 발매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플레이스테이션과 닌텐도64, 그리고 리눅스로 이식되었다.

 

1998년 3월엔, 후에 리턴 투 캐슬 울펜슈타인을 만든 그레이메터 스튜디오의 전신인 재트릭스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개발된 확장팩 더 레커닝이 발매되었고, 후에 아메리카 맥기의 앨리스를 만든 로그 엔터테인먼트에 의해 개발된 그라운드 제로도 발매되었다. 그외에 유저 제작 컨텐츠 중 우수한 것들을 뽑아 만든 '넷팩 I'이라는 멀티플레이 전용 확장팩도 발매되었다.

 

퀘이크 1 이후, 이드 소프트웨어는 퀘이크 후속편이 아닌 완전 신작을 개발하고 있었다. 하지만 개발이 상당 부분 진척된 때에 와서야 생각해뒀던 이름이 다른 개발사에 의해 이미 상표등록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고, 이에 방향을 선회하여 전작과 공유되는 몇 가지 요소(쿼드 데미지 등)를 집어넣고 퀘이크 2의 이름으로 발매하게 되었다. 이것은 퀘이크 2가 중세를 배경으로 했던 전작과 달리 완전 미래적인 배경을 무대로 삼고 있는 이유이다.

 

데이빗 커쉬너에 의해 출간된 '마스터 오브 둠' 서적에 의하면 퀘이크 2 개발 과정은 긴장의 연속이었으며, 묘한 대립각을 세웠던 이온스톰(존 로메로)과 인터넷을 통해 싸움을 하는 등 개판이었다고 한다. 하지만 다이카타나와는 달리 게임은 예정대로 발매되었고 98년 중 가장 인기있었던 멀티플레이 게임으로 자리잡았다.

 

 

Quake2.zip

 

Quake2M.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이드 소프트웨어에서 개발한 FPS 게임. 퀘이크 시리즈의 첫 작품으로 1996년 6월 22일에 발매되었다. 1993년 12월 첫 발매후 세계적 열풍을 불게 했던 둠 시리즈 이후 id 소프트웨어의 차기작.

 

둠보다도 더욱 강렬하고 화끈한 액션성을 가지고 있으며 멀티플레이가 크게 강조되어 초기 프로게이밍이나 클랜 등이 탄생하는데 크게 기여했다.

 

존 카멕이 엔진 개발을 담당했고 팀 윌릿츠를 비롯한 네 명의 디자이너가 게임 다자인을 담당했다. 퀘이크 이전까지 이드 소프트웨어의 간판 디자이너였던 존 로메로는 그 당시 회사 내의 입지가 상당히 줄어들어 있었고 더군다나 퀘이크를 액션 RPG로 만들려했던 초기 기획안이 무산되면서 게임 디자인에는 커다란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 여파로 존 로메로는 퀘이크가 발매되기 불과 몇 달 전에 회사를 그만두고 악명 높은 개발사인 이온 스톰을 세우게 된다.

 

둠의 성공 이후, 카멕은 기존의 2.5D 그래픽에서 벗어나 진짜 3D 그래픽을 구현하는 엔진을 만들기 시작한다. 3D 그래픽에는 나름 초짜였던 존 카멕에게 있어 이 과정은 무척이나 험난했으며 결국 마이크로소프트의 유능한 프로그래머였던 마이클 아브래쉬를 고용하고 원래의 제작 기한을 1년 이상 넘기는 고생 끝에 마침내 1996년 2월 24일, 퀘이크의 시범 버전이라고도 할 수 있는 QTest를 웹에 배포한다. QTest는 싱글 플레이는 삭제되어 있었으며, 세 개의 멀티플레이 전용 맵만을 탑재하고 있었다. 정식 릴리즈에 비하면 다소 초라한 모습의 버전이었지만, 이 게임은 많은 인기를 끌며 웹상에 수많은 QTest 서버가 생기게 만들었다. 결국에는 MOD와 커스텀 스킨까지 나돌았을 정도로 인기는 대단했다. 그리고 그 해 6월에 정식 게임이 발매되었다.

 

 

Quake1.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Tiger Woods PGA TOUR 08 -allinone.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1. 데드스페이스3(XBOX360/PS3/PC)

 

 

 

 


2. 어쌔신크리드3 (XBOX360/PS3/Wii U/PC)

 

 

 

3. 갓오브워:어센션(PS3)

 

 

 

4. 디스아너드(XBOX360/PS3/PC)

 

 

 

 

5. 메달오브아너:워파이터(XBOX360/PS3/PC)

 

 

 

6. 바이오하자드6(XBOX360/PS3/PC)

 

 

 


7. 툼레이더(XBOX360/PS3/PC)

 

 


8. 헤일로4(XBOX360)

 

 


9. 라스트오브어스(PS3)

 

 

 

 

10. 콜오브듀티:블랙옵스2(XBOX360/PS3/PC)

 

 


11. 비욘드:투소울(PS3)

 

 

 


12. 기어스오브워:저지먼트(XBOX360)

 

 

13. 왓치 독스(XBOX360/PS3/PC)

 

 

 

14. 데빌메이크라이(XBOX360/PS3/PC)

 

 

Posted by 롤링다이스
,

 

 

 

 

 

PC 게임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저녁의 후속작인 벨트스크롤 액션게임이다.


하지만 동명의 원작 만화와는 하등 관계가 없는 그냥 게임의 속편인데, 워낙 전작이 퀄리티가 우수했고 이 게임 자체가 만들다가 만 느낌이 강해서 그다지 좋은 평을 얻지 못했다. 또한 도대체 무슨 문제가 있었던건지 전작과 하등의 연계성이 없어보인다.[1] 제목조차 본게임에 들어가서 보면 어쩐지 저녁 2 : 스톰이 아닌 그냥 스톰이다.


이건 본 게임에 들어가면 더욱 심해지는데, 거의 없다시피 한 스토리 라인조차 전혀 전작과 이어지지 않는다.


어쩐지 좋은 일이 생길 것 같은 저녁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TG 엔터테인먼트에서 만든 액션 게임.
캡콤의 파이널 파이트와 비슷한 벨트스크롤 액션게임이다.


상당한 수작으로 국산 게임중에도 손꼽힐정도의 완성도를 지니고 있다.

 

STORM.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발매일: 1998년
제작사: F.E.W.
유통사: 삼성영상사업단
장르: 액션 롤플레잉 ARPG

재일 조선인 학생 김영웅을 주인공으로 빛의 세력과 어둠의 세력 간의 대결을 다룬 작품이다.
전작에서 단점으로 지적된 점이 상당 부분 개선되었는데 부실한 타격감이 개선되고 그래픽도 상당히 발전했다. 스토리 또한 전작의 부실함보다는 상당히 탄탄해진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게임자체는 재밌게 잘 만들어졌지만 국산게임의 고질병 버그 때문에 비판을 받았다.
아이템 사고 팔기 벅, 수련장 버그, 최종보스의 경우도 버그로 인해 대사없이 전투가 끝나버리는 문제 등등이 있었다.

또한 숨겨진 필살기 배우는 재미는 쏠쏠했으나 정작 막대기 하나 들고 싸우는게 더 유익했던 전투 시스템도 문제가 있었다.

개발자 김홍석씨가 인터넷에 올린 패치로 버그는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TOKYO2.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발매일: 1997년
제작사: F.E.W.
유통사: 삼성영상사업단
장르: 액션 롤플레잉 ARPG

 

원래 우리나라가 배경이었으나 학원폭력물이란 이유로 심의에 걸리자 일본으로 배경을 수정하여 출시했다.
주인공 고등학생이 불량배 및 일본 깡패들과 맞서 싸우다가 조선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깨닫게 된다는 이야기다.
주인공 중 한명을 택하여 플레이할 수 있지만 엔딩 동영상의 차이일 뿐 스토리상 큰 변화는 없다. 또한 어설플 조작감과 버그, 황당한 스토리전개는 많은 아쉬움을 남겼다.

 

TOKYO.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가마소프트

98년 6월 - 창업
99년 5월 - 미사이어 출시.
99년 7월 - 가마소프트 법인설립
2000년 5월 - 제노에이지 출시.
2001년 2월 - 제노에이지 플러스 출시.
2002년 10월 - 릴 온라인 오픈베타를 실시한다.

2003년부터는 해외에서도 상용서비스가 되는등
나름대로 잘나간다.

2004년 "릴 파트2 Incomplete Union" 등장.
2005년 모나토 에스프리 등장. 2006년에 클로즈 베타에 들어간다.
2006년 5월 - 모나토 에스프리 1차 클로즈 베타.
2006년 9월 - 2차 클로즈베타. 이후 일본시장에서도 소개가 된다.
2007년 2월 2일 - 모나토 에스프리 오픈베타. 하지만 성적저조. 좆망.
2007년 4월 - 캐주얼 익스트림 레이싱 게임 "프로젝트 T"를 발표한다. 안나옴.
2007년 5월 31일 - 모나토 에스프리 사망. 유통했던 SK계열사 SK C&C는 모나토 에프스리의 좆망으로 게임사업
철수한다.

살아있는지도 모르겠다. 릴 온라인은 운영중인걸로 보건데 뭐 살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게임과 멀티미디어

95년 - 프로토코스를 출시한다. 팀으로 보이며 이외의 활동은 보기 어렵다.

99년 1월에 프로토코스 외전 : 다라시안편이 나오는데 이것은 "재미있는 녀석들"이라는
데에서 만들었다. 이 두 개는 전혀 다른 팀으로 보인다.


그리곤 엔터테인먼트 (가람과 바람)

가람과 바람이라는 나우누리 게임제작 포럼 소모임으로 시작.
밉스 소프트의 8용신전설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비공식 첫 작품이다.
밉스소프트와의 불화가 생긴다. 이후 카마엔터테인먼트로 옮겨 게임을
개발하고 이후 그리곤 밑에 들어간다.


98년 - 큰바위얼굴 설립 (그리곤의 시작)
1999년 - 첫 작품 "레이디안" 출시한다. (가람과 바람팀)
99년 9월 큰바위얼굴에서 그리곤 엔터테인먼트로 변경.
2000년 가람과 바람에서 "씰" 출시.(가람과 바람)
2000년 11월 "미라스페이스" 영입 (그리곤)
2001년 5월 가람과 바람팀 영입 (그리곤)
2002년 3월 "나르실리온" 출시. (그리곤)
2003년 "천랑열전" 출시. 하지만 천랑열전은 좆망하고 만다. 이유는 뭐 설명 안해도 알거다. (그리곤)
2003년 7월 16일 "씰 온라인" 오픈베타.
2007년 - YNK코리아가 "씰 온라인을 인수"
2009년 - 코스닥 상장실패.

2009년 코스닥 우회상장 실패와 더불어 140억원의 매각대금을 제대로 지불하지 못하면서 회사는 폐업되고
이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개발중이던 칸헬 온라인도 당근 나오지 않았다.



그림디지털 엔터테인먼트

99년 - 소울 슬레이어즈 개발.
2000년 2월 - 소울 슬레이어즈 출시. 동화풍의 그래픽으로 많은 기대를 모았으나 혹평을 받는다.
2001년 3월 - 외전 "다크퀘스트" 출시. 나온줄도 몰랐고 조용히 사라진다.
2002년 2월 - 엘앤케이 로직코리아와 더불어 "거울전쟁"과 '붉은보석"을 합작으로 개발한다.
2002년 7월 - 횡스크롤 슈팅게임 "바다의 왕자 장보고" 출시
2007년 4월 - 유무선 연동게임이라고 하는 "로드 오브 디" 출시.
2009년 1월 - 호러건슈팅 온라인 게임 "배틀스쿨" 공개. 2009년 여름 비공개 테스트라고 하는데
이후 소식이 없다.


그라비티

전신이 "아크트레프트"로 90년대 초반 설립하였다. 처음에는 회사라기보다는 스튜디오 팀 형태로 있었다고 한다.
라스 원더러, 리크니스, 개미맨 2등에 외주형식으로 참여하였다고 한다. 소프트맥스 밑에 있다고 했는데
이후 독립하였다.

2000년 4월 - 법인 설립
2000년 12월 - 손노리와 공동개발한 "악튜러스" 출시
2001년 11월 - "라그나로크" 오픈베타 시작.
2002년 8월- "라그나로크" 상용서비스 시작.
2002년 10월 - 대만등 해외에서 상용서비스를 시작하였다.
2002년 9월 - 김학규 사장이 퇴사하였으며 김정률 회장 체제로 바뀌게 된다. 김학규 대표는 이후 IMC게임즈를 설립.
그라나도 에스파다를 개발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현재 새로운 게임제작에 몰두하고 있다고 한다.
2005년 2월 - 나스닥에 상장하였다.
2005년 5월 - 트리거 소프트 합병.
2005년 8월 30일 - 김정률이 회사 지분 52.4%를 일본회사 겅호에 4천억원에 매각하면서 그라비티는 소프트뱅크 산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때 상당히 말이 많았던 케이스. 이후 김정률은 싸이칸 회장으로 역임하면서 페이퍼 맨이라는 온라인 게임을 내놓았으나 사망.
이후 MMORPG 게임 하나를 절치부심하며 개발한다고 하지만 얘기는 들려오지 않는다. 뭐 밥은 먹고 다니시겠지.
2007년 8월 - 라그나로크 2 온라인 서비스에 들어갔으나 "라그나로크 1"의 명성을 능가하기에는 어려워 보인다.

그래도 현재 그라비티는 나가고 있다. 이밖에도 뿌까레이싱, 레퀴엠 온라인, 라그나로크 2등을 개발하였으며
로즈 온라인,스타아리아등등을 배급하였다.



나비야 엔터테인먼트

2001년 8월 설립하였다.
2002년 3월 - 코코룩을 출시. 3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2002년 상반기 히트게임대상에 선정된다. (경향게임즈)
2003년 1월 홈데코 시뮬레이션 "써니하우스"를 출시. 대한민국 게임대상 "캐릭터상" "인기게임상"의 영예를 안는다.
2003년 5월 써니하우스 - 이달의 우수게임상 수상 - 문화관광부 장관상
2003년 9월 신작 온라인게임 "바닐라캣" 서비스에 돌입. 3년간의 클로즈베타 서비스에 들어간다.
2006년 1월 6차 클로즈베타를 마치고 바닐라캣이 정식으로 오픈한다. 현재 cj인터넷에서 서비스가 계속되고 있다.
2006년 12월 CJ인터넷이 나비야 엔터테인먼트를 전격 인수한다. CJ인터넷 밑으로 들어감으로서 나비야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그런데 바닐라캣 개발동안 CCR,넥슨등과 이견차들이 많아 구설수를 낳기도 했다.



<나비야 엔터테인먼트 사장이셨던 "이상희"대표의 모습>



남일소프트

SKC소프트랜드의 별도법인으로 세운 업체.

95년 1월 - 개미맨 1탄 출시. 남일소프트의 첫 작품이다.
97년 - 캠퍼스 러브스토리 출시. 국내의 독보적인 미연시 게임으로 남는다.
98년 1월 - 개미맨 2 출시. 그라비티에서 개발에 참여하기도 했다.
98년 8월 - "나의 신부"를 출시한다. 엄정화 캐릭터 라이센스를 받는등 화제를 모으지만 게임성이 구려 좆망.

나름대로 인기를 끌던 남일소프트는 이후 경영이 악화되었다. 이후 위자드 소프트가 경영권을
넘겨받으니 위자드 소프트의 전신이 바로 남일 소프트인 것이다. 이후 역사는 위자드편을
참조토록 하자.



네이션 오브 게임 (NOG)

99년 - 창업
2000년 3월 - 법인화.
2001년 9월 - 바이탈 디바이스 출시.
2002년 - 토이알피지를 표방한 온라인 게임 "플라스틱스" 를 개발.
2003년 3월 21일 - 오픈베타에 들어간다.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이후 플라스틱스는 중단되고 개발사도 게임과 같이 운명을 같이 한다.


단비 시스템

1993년 8월 창업
94년 1월 - "고고 우리별" 출시.
94년 10월 - 아케이드 게임 "일지매전 만파식적편" 출시. (타 게임사의 롤플레잉과는 다른 게임)
96년 4월 - "마이러스 카오스 대작전" 출시
97년 2월 - "까꿍" 출시.
97년 6얼 - 주식회사 전환.
97년 12월 - "뱀프 1/2" 출시.
98년 - "12지 전사" 출시
99년 - 아케이드 게임시장 진출.
2001년 - "오피스 여인천하"가 오락실용으로 나온다. 이후 이 게임은 2002년 이소프넷에서 PC버전으로
나온다.

이후 행적은 알수없다.



도트 앤 비트

95년 - 다크니스 출시


동서게임채널

1986년 - 설립. 첫 상호는 "동서산업개발"이었다.
1989년 - 해외 게임을 처음 유통하였다. 2000년대까지 유통사업에 주력하여 1200여개 이상의 타이틀을 유통한 국내최대의 게임
유통사로 자리매김하였다.
1994년 - 달려라 코바 타이틀을 출시하였으며, SBS에서 방영되었다.
1995년 - 자체개발을 시작하였다. 동서스튜디오가 설립되었으며 RTS 게임 광개토대왕을 출시한다.
1995년 - 정보통신부 장관상 수상[ 신소프트웨어 대상 오락/게임부분 수상]
1995년 - 과학기술처 장관상 수상[국산 신기술 인증(KT)서 획득]
1995년 - 공연윤리위원회 '올해의 좋은 영상물' 우수작 선.
1996년 - 동서게임채널 인터넷 DS.NET을 시작하였다.
1998년 - 삼국지 천명 출시, 확장팩 손권의 야망을 출시하였다.
2000년 - 삼국지 천명 2를 출시하였다.

동서게임채널은 지금 내놓으면 1장도 팔리기 어려울 것 같은 해외게임을 대거 유통하면서 게이머들에게 한줄기
빛으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어둠의 씨앗, 주시자의 눈,어둠속에 나홀로, 다크포스등 여러 게임을 한글화하기도 했다.

CD-ROM이 보급되면서 정품 패키지 가격이 4~8만원대까지 급상승하였고 박스도 부피를 줄이기 위한 양말곽 박스.
부실한 메뉴얼등이 보급(?)되면서 게이머들의 애증을 사기도 했다. 2000년대 들어 EA코리아가 패키지 게임 직배를
시작하는등 돈줄(?)이 빠지면서 게임유통을 접고 자체개발을 시작한다.

삼국지 천명 출시이후 삼국지 천명 3를 개발한다.
하지만 2003년인가 2004년에 "데스티니 온라인"으로 게임개발 전환.
타이틀을 "카이온 사가"로 변경하는 등 중구난방하다가 결국 나오지 않았다.

2004년 조인트 오퍼레이션 : 타이푼 라이징을 유통한게 마지막으로 추정된다.
2005~2006년 사이에 사업전환을 하였다고 동서게임채널에서 공지하였으나 뭐해먹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 흔히 알려져 있는 쇼핑몰 "동서게임"이랑은 상관이 없는듯 하다. *








드래곤플라이

95년- 2월 창업
96년 1월 - 첫작품 운명의 길을 출시한다. 하지만 좋은평은 듣지 못한다.
97년 9월 - 카르마 출시. 3D 롤플레잉 게임으로 당시 대한민국 게임대상을 수상하는 등
여러 상을 받았으나 게임 자체의 완성도는 별로였다.
98년 8월 - "날아라 호빵맨" 출시
99년 11월 - "벨피기어스 나이트" 출시. 흥행에 실패한다.
2000년 5월 - "날아라 호빵맨 2" 출시.
2001년 7월 - (주) 드래곤 플라이로 법인이 변경.
2002년 12월 - 카르마 온라인 오픈베타 실시. 대한민국 최초의 FPS 온라인이라는 업적을 세운다.
2004년 7월 - 스페셜 포스 오픈베타. 대한민국 게임계의 판도를 뒤엎으며 흥행에 성공한다.
해외에까지 상용서비스가 성공을 거두는 등 여러모로 잘 나간다.
2006년 7월 30일 - 버그와 상용화 실패로 내리막길을 걷다가 결국 "카르마 온라인"은 서비스가 종료된다.
2007년 11월 - 온라인 테니스 게임 "골드슬램" 오픈. 한국테니스협회 공식지점게임.
2007년 11월 - 무역의 날 300만달러 수출탑 수상.
2009년 1월 22일 - 2차대전을 배경으로 한 FPS "카르마2"가 나타난다.

언리얼 엔진 3를 기반으로 한 "스페셜 포스2"가 개발중이며 "퀘이크 워즈 온라인" "솔저 오브 포춘"
온라인등도 현재 추진중이라고 한다 FPS전문 개발사로 잘 나가고 있는 듯 하다.





드림테크

97년 - 법인전환
98년 - 3년간의 개발기간을 들였다는 바둑게임 "메듀사" 출시. 92년 북한에서 귀순한 박철진씨가
러시아인 델리시틴과 공동으로 개발한 것이다.
2000년 - PC게임은 아니지만 휴대용게임기로 "포켓 메듀사"를 개발한다.

이후 행적은 알수 없으며 합병되었다는 얘기도 있으나 확실치 않다.









디지탈임팩트

93년 3월 12일 - 창업
98년 1월 - 에일리언 슬레이어 출시. 호평을 받는다. 해외수출도 한다.
99년 7월 16일 - 코스닥에 등록. 게임회사로는 최초의 코스닥 상장기업이 된다.
2000년 3월 - 영상사업 시작. (주)새한의 홈비디오 사업부문을 인수한다.
2001년 4월 - (주) 엔터원으로 상호변경.

우리가 잘아는 DVD파는 곳이 바로 엔터원이다.

2001년 9월 - 음반사업진출
2002년 4월 - DVD사업 진출.
2004년 11월 - 영화광고대행사업 진출
2005년 6월 - 아이엠픽쳐스 인수.
2005년 12월 - 대한민국 영상대상 우수상 수상.
2006년 5월 - 유통법인 루멘스타 설립.
2007년 - 홈비디오 사업의 위기로 홈비디오 산업 포기. 교육, 미디어를 차세대 사업으로 선정한다.
2008년 3월 28일 - 팍스메듀로 상호변경.
2009년 6월 - 써니트렌드로 변경.
2009년 9월 - 상장폐지.

뭐 거의 망해가는 분위기인듯하다. 사실 게임회사라기 보다는 DVD파는 곳으로 더 익숙한
곳이다. 거의 심심풀이 땅콩(?) 수준으로 게임개발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라디안 소프트

2004년 8월 - 경영시뮬 헤어짱 출시. 이거 외에는 만들생각도 없는 듯 하다. 홈페이지는 아직도 살아있다.
















리딩엣지

98년 4월 30일 - 창업
99년 - 타르마니안 택틱스 출시.
2001년 - "렛츠댄스토이" 개발
2002년 8월 - "보이스비기"를 개발하여 신소프트웨어 상품대상을 받는다.

코스닥 등록도 시도하려했으나 실패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로의 행적은 보이지 않는다.






리틀풋

99년 - 일몰개발.









마이에트 엔터테인먼트

98년 5월 - 창업
99년 1월 - 에이스 사가 개발시작.
99년 8월 - 주식회사로 전환.
2002년 10월 - 3년간의 개발끝에 에이스 사가 출시. 대한민국 게임대상 특별상을 받지만 흥행실패로
회사가 휘청거린다.
2004월 2일 - 차기작 "건즈 온라인" 서비스.
2004년 4월 - 상용화. 이후 건즈 온라인은 잘 팔려나가면서 해외에서 서비스 된다.
2006년 1월 - 새 프로젝트 개발시작.
2007년 10월 - 건즈 온라인 2 개발시작.

2009년까지 현재 프로젝트 H라고 하는 게임을 개발중이다. 정확한 제목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네오위즈에서 서비스할 예정이다.











막고야

92년 1월 창업
92년 3월 - 세균전 출시
95년 9월 - 법인 전환
93년 8월 - "원시소년 토시" 출시
94년 12월 - 전륜기병 자카토 출시
95년 2월 - 세균전 95 출시
95년 12월 - 자카토 만 출시
97년 11월 - 제 3지구의 카인
98년 7월 - 하르모니아 전기 출시
99년 - 코스믹 블라스트 출시
2003년 11월 - 온라인 게임 "루넨시아" 오픈, 좋은 성적을 거둔다.
2004년 2월 - 온라인 격투게임 "크래커스" 발표.
2004년 2월 - "루넨시아" 무료화.
2006년 5월 - "루넨시아" 서비스 종료.

이후 회사 이름을 타피로스로 이름을 바꾼다.

2007년 7월 IF온라인 클로즈베타 실시.

이후는 모른다. 망한듯 하다.













만트라

초기 한도홍산무역 (주) 으로도 알려져 있다. 80년대에는 MSX용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전문적으로 유통했던 "만트라 컴퓨터 하우스"라는 이름도 있는데 동일한지는 모르겠다.

90년대 초 - 가이낙스의 프린세스 메이커1을 유통하였다.
93년 - 팔콤과 계약을 맺어 "이스 2 스페셜"을 제작한다.
94년 - 만트라 개발실을 KBS드라마센터로 이전한다.
90년대 초 - 98년 - 제노사이드 2를 PC로 리메이크.
프린세스 메이커 2를 유통하였다.
영웅전설 시리즈를 유통하였다.
98년 - "프린세스 메이커 3"를 유통한다.
98년 - "이스 이터널"을 유통한다.
98년 - "랩서디안 어컬텔러"를 제작한다. 당시 일러스터가 김형태씨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IMF가 겹치고 이스 이터널 TV광고등 무리한 투자로 결국 98년에 부도가 난다.
"랩서디안"은 거의 만들어졌으나 문제가 있어 나오지 않았다고 알려져 있다.

이후 만트라 대표였던 "김도성"은 새로운 유통사를 설립한다.
2007년 설립된 "아루온 게임즈"로 대표이사직으로 있다.

만트라는 자체개발 게임보다는 가이낙스,팔콤게임 라이센스로 우리에게 더 친숙하다.



<만트라 출신의 김도성님이 설립한 아루온 게임즈>






멀티스페이스

98년 5월 - 설립
99년 3월 - 밀리테이토 출시. 호평을 받았으며 이달의 우수게임으로도 선정되기도 했다.
2000년 - 게이트 소프트라는 이름으로 바뀐뒤 1인칭 액션게임 "게이트"를 개발.
PC용과 드림캐스트로 발매하려고 한다.

2000년 9월 출시예정으로 나왔는지 확실한 정보는 없다. 어찌되었던 회사는 성징하지
못하고 사라진듯 하다.



<게이트소프트 사장님의 모습 (오른쪽)>














메디아 소프트

95년 8월 창업
95년 10월 - 맥시스와 독점계약
96년 1월 - 게임개발팀 설립

95년부터 2000년대까지 여러 게임들을 한글화 유통한다. 맥시스와 3DO 게임등을
다양하게 유통하였다. 심시티 시리즈, 심시티, 심콥터, 아미맨,업라이징,마이트 앤 매직
킥 오프, 토리 라루사 베이스볼등을 유통하였다.

97년 10월 - 안코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축구게임 "붉은 악마"를 출시한다. 게임평은
처참하다.
98년 - 안코사와 공동으로 개발하여 "붉은 악마 2"를 개발한다. 하이콤에서 유통한다.
2000년 12월 - 자체 개발 온라인게임 "블레오"의 오픈베타를 시작한다.
2001년 - 상용서비스 돌입
2001년~2002년 - 하이히트 베이스볼 시리즈와 히어로즈 오브 마이트 앤 매직을 출시한다.
2006년 12월 31일 "블레오" 사망. 이 시점에서 메디아 소프트는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뭉클

2001년 SOMAT 출신의 허용수 사장이 창업했다.
2002년 12월 - 테일즈 오브 윈디랜드를 출시한다.
2003년 PS2용 액션 롤플레잉 게임 "마스키아" 프로젝트에 돌입한다. 2004년 12월 출시예정이었으나 나오지 않았다.
2004년 온라인 게임 "비타인 온라인"을 개발한다. 카툰랜더링 방식의 MMORPG로 2004년 중순 클로즈베타에 들어간다.
하지만 오픈베타 얘기도 들리지 않고 이후 소식은 없다. 망한듯 하다.






메가폴리

1998년 SOMAT (부산정보통신연구원) 출신으로 시작.
1998년 쿠키샵 제작. 전국게임대회에서 수상하였다.
2000년 출시된 쿠키샵이 출시되어 좋은 성적을 거두며 해외로도 수출된다. 13만장의 판매고를 올린것으로 알고 있다.
2002년 말 - 스위키 랜드를 출시한다.
2003년 10월 - 쿠키샵 2가 출시되었다.
2004년 3월 - 러브가 출시된다.
2004년 12월 - 러브 2 파르페를 출시.
2006년 러브 2 파르페 온라인을 발표한다. 현재까지 안나오니 말아먹은 듯 하다.
2006년 3d 캐쥬얼 온라인게임 "버닝부스터"를 기획만 한다.

2006년이후로는 소식이 없다. 망했다는 얘기도 없고 어떻게 되었다는 것도 없다.








미라스페이스

99년 8월 - 제피 1을 출시.
2000년 5월 - 그리곤 엔터테인먼트 밑으로 들어간다. 당시 1팀,2팀으로 나뉘었고 2팀이었던
가람과 바람이 나르실리온을 만들었었다.
2002년 2월 - 제피 2를 출시한다.

제피 2는 미라 스페이스의 마지막 작품으로 이후 사라진다. 제피 2의 대망이 존속에 영향을
미친듯 하다.







미리내 소프트

1987년 2월 - 창업
88년 - 그날이 오면 1 을 MSX 용으로 개발. 출시여부는 지금도 알려지지 않고 있다.
89년 9월 - 그날이 오면 2 출시 MSX용.
93년 3월 - 그날이 오면 3를 PC로 출시.
94년 6월 - 그날이 오면 4 출시
94년 10월 - 법인 전환.
95년 1월 - 그날이 오면 5 출시
95년 5월 - 이즈미르 출시
95년 12월 - "망국전기" 출시. 많은 호평을 받으며 성공한다.
95년 12월 - "풀메탈자켓" 출시.
95년 12월 - "운명의 결전" 출시.
95년 "사이버 폴리스" 출시
96년 1월 - 아마게돈 출시
96년 으라차차 출시
96년 "카트레이스" 출시.
96년 "나무꾼 이야기"출시.
96년 "고룡전기 퍼시벌" 출시
풀 메탈 자켓 2 출시.
97년 1월 "네크론" 출시. 코가유통사의 부도로 판매대금을 미회수. IMF크리겹쳐 쇠락의 길을
걷는다. 이후 미리내의 행적은 조용히 사라진다. 아마 99년엔가 부도처리로 알고 있다.


2001년 미리내 멤버가 뭉쳐 "미리내 엔터테인먼트"를 창업. 사장은 미리내 창립멤버인 "정재성"이었다.
2003년 5월 - "칸 온라인" 오픈베타에 들어간다. 칸 온라인은 해외로 수출되는 등 큰 인기를 얻는다.
2006년 5월 - 보안기업 "시큐어소프트"가 미리내 소프트를 전격인수. 게임산업에 진출한다.
2006년 말 - 머큐리 프로젝트에 돌입하지만 안나온다. 시큐어소프트는 보안업체인데 주 사업이 아닌
게임사업과 같은사업에 진출하지만 큰 효과를 내지 못하며 경영이 악화되어 간다.
2007년 4월 - 시큐어 소프트가 상장이 폐지된다. 또한 회사 전 대표가 200억을 횡령한 혐의로 구속하면서
주가는 휴지조각이 된다.
2009년 10월 - 경영악화의 일로를 겪다가 결국 미리내의 "칸 온라인"은 서비스가 종료된다. 미리내는
이로써 역사속으로 다시 사라진듯 하다.




<미리내 소프트 로고>











민 커뮤니케이션

97년 8월 - 법인설립
99년 4월 - 신작 "세가지 보석"을 출시. 나름대로 좋은 성적을 거둔다. 99년 그들은 새로운 3D 엔진
시그마를 개발하고 10월부터 RTS 비너시안 개발에 들어간다.

2000년 - 세가지 보석 해외수출.
2001년 9월 - 2년가까운 개발기간을 들여 3D RTS 게임 비너시안 출시. 10억원의 개발비가 들어갔지만
조용히 묻힌다.
2002년 11월 - 란 온라인 제작발표.
2004년 4월 - 클로즈 베타를 거쳐 오픈 베타시작.
2004년 7월 - 란 온라인 상용화. 해외에서도 서비스되는등 대박을 터뜨린다.
2009년 5월 - 차기작 "메르메르 온라인" 오픈베타.

비너시안의 좆망으로 민커뮤니케이션의 위기가 닥쳤으나 란 온라인의 성공으로 성공신화를 이루었다.







밉스 소프트


95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다. 부산 최초의 게임개발사.

95년 Fly2020 - 밉스 소프트의 처녀작.
95년 12월 - 천공전기를 출시하였다. 3D 그래픽이 사용. 실패.
97년 - 캠퍼스 히어로즈를 개발하였다.
98년 - 8용신전설을 가람과 바람과 함께 제작하였다. 하지만 발매직전에
분열되어 이미지가 나쁘게 회자되기도 했다.
2000년 - 이현세의 만화원작 아마게돈을 출시. 100만 카피 무료배포라는 것을 내놓았으나 악평으로 인해
망하고 말았다.

국내 최초의 게임 음악 라이브 콘서트 (8용신전설), 게임 음악 CD를 제작하였으며
98년에 병역특례 업체로 선정되기도 했다. 2002년 아웃렌스라는 대전 온라인 게임을 개발하고자 한다.
하지만 이후 활동이 없는 것으로 보아 2002년쯤에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밉스출신의
개발자들이 주축이 되어 다른 게임회사를 설립하였던 것으로 보이나 (리드 소프트, 라 엔터테인먼트?)
뚜렷한 작품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바이트 쇼크

97년 1월 - 일렉트로닉 퍼플 제작.





버추얼웨이브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

97년 1월 - 창업. 임프레소로 시작.
97년 2월 - 미노의 모험 개발. 대한민국 우수게임 선정. 당시 팀 이름이 임프레소였다.
98년 10월 - 롤플레잉 게임 "더 소울" 출시.
2000년 5월 - 버추얼웨이브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 법인전화.
2000년 8월 - 온라인 경마게임 서비스 개발완료.
2000년 12월 - "로보텍" 출시.

이후 비천무 온라인을 개발한다. 하지만 2003년엔가 망했다고 들었다.









빅브레인

98년 - 빅브레인 설립. 동서게임채널 개발팀 출신이 모여 만들었다.
2001년 7월 - 임팩트 오브 파워 출시. 개발비가 떨어져서 급히 출시했고 좆망했다.
2003년 4월 - 유통사의 부도. 온라인 게임개발 실패등으로 영영이 악화되자 회사 문을 닫는다.
2003년 5월 - 빅브레인 출신 3명의 직원들이 모여 회사를 창업하니 "니다엔터테인먼트" 로
나온 게임은 "니다 온라인"이다. 현재까지 서비스되고 있다.








빅콤

91년 - 창업
94년 9월 - "왕중왕" 출시. SNK의 지원사격(?)과 더불어 개발된 게임. 국내최초의 아케이드 대전액션 게임으로
알려져 있다. 완성도가 처참해서 킹왕짱 망했다.
96년 - 극초호권 출시. 좋은 명을 들었으나 크게 성공하지 못한듯. 3DO로도 나왔는데 망했다고 한다.
2001년 - 우노테크놀러지라는 이름으로 "킹 오브 파이터즈" 온라인을 개발한다.
2002년 - "킹 오브 파이터즈 온라인"은 얼마못가 중단.
2004년 - 스크린 경마 사업에서 놀다가 정부의 철퇴를 맞은 것으로 추정. "바다이야기" 사태와 더불어
아케이드 산업의 몰락과 궤를 같이 한 듯 하다.

퀴즈 킹 오브 파이터즈, 퀴즈 사립탐정등의 게임등도 빅콤을 통해 소개된 바가 있다. 주로 네오지오
게임등을 취급하였으며 업소용 게임을 개발하였다.

빅콤사장 깁감환님은 올해 73세로 2008년 XRI이라는 회사를 설립, 현업에 복귀했다고 하나 현재
주목할만한 활동은 보이지 않는다.





사내 스포츠

98년 - 한국프로야구 98을 출시한다. 3D로 제작한 국내에서는 상당히 보기 드문 스포츠 게임이었다.
비스코에서 유통했다. 게임성은 부족하지만 최초의 국내 프로야구를 다룬 최초의 게임에 의미가 깊다.

2001년 2월 - 한국프로야구 2001 출시.
2002년 - 한국 프로야구 라이브 2002 에디션 출시. 한국 프로야구 98과 동일한 엔진을 사용한듯 하고
평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2004년 - 한국 프로야구 2 온라인 - 라이브 스타디움 2002의 클로즈 베타에 돌입한다.

챔피언쉽매니저 시리즈 한글화도 한다. 어찌되었던 사커스타 인지 뭔지에 손대었다가 결국에는 말아먹은
것으로 알고 있다. 개발사는 사라졌지만 현재 한국 프로야구 온라인 3가 개발중이라는 소문이 있다.







산지니

일지매전 만만파파식적편이라는 게임을 94년엔가 만들었다고 한다. LG소프트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LG게임스쿨이었나?)



서로소프트

2000년 - 리틀아이다 개발.




성진멀티미디어

97년 - 아담 개발.




세노리박스

95년 - 도깨비가 간다 개발.








새론소프트

미리내 소프트 출신의 개발진들이 만든 개발사.

94년 1월 - 새론소프트 창설
94년 3월 수퍼샘통 개발.
96년 3월 - 최초의 육성시뮬 "장미의 기사" 출시
97년 5월 - "언더리언" 출시.
97년 12월 - 새론엔터테인먼트로 변경
98년 1월 - 매드런 출시.
2000년 3월 - 유즈드림으로 변경.
2001년 12월 - 무혼 오픈베타. 2년간의 개발기간을 들였으며 20억원의 개발비가 투자되었다고 한다.
2002년 11월 - 상용화 돌입. 뭐 그럭저럭 잘나간듯 하다.
2003년 10월 - 로토토가 온라인 게임사업 진출을 위해 "유즈드림"의 온라인 사업부 인수
2005년 7월 - 유즈드림과 네오위즈 제휴. 신규게임 "고고트래져" 배급하기로 함.
2005년 9월 - 고고트래져 비공개 서비스 개시. 이후 클로즈베타 서비스에 들어간다.
2006년 7월 - 고고트래져 오픈베타.
2007년 3월 - 네오위즈로부터 "고고트레져" 판권회수. 독자서비스를 계획한다.
2008년 5월 - "무혼" 사망.

이후 행방은 불명이다. 무혼도 망했으니 뭐 망했을 가능성이 있다.







성진 멀티미디어

97년 아담이라는 게임을 개발. 많은 호평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 활동은 없다.







씨드나인 엔터테인먼트

98년 7월 - (주)코아기술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다. 코아기술 산하에서 씨드나인팀 발족.
2000년 6월 - 처녀작 "벨리알 이야기"를 만들지만 대망.
2000년 8월 - 씨드나인 설립. 당시 24살의 나이였던 사장 김건은 게임계 최연소 CEO로 화제를 모은다.
2001년 6월 - 토막 지구를 지켜라 - 러브 스토리 출시.
2002년 5월 - 토막 : 지구를 지켜라 어게인 출시, 토막의 경우에는 일본에도 수출. 좋은반응을 얻는다.
2003년 1월 - 토막 : 지구리 지켜라 완전판이 PS2용으로 출시된다.
2003년 12월 - 토막의 경우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수상하는 영예를 안는다.
2004년 1월 - 차기작 온라인 슈팅게임 "범핑히어로즈"가 피망에서 서비스 된다. 언제 중단된지는 모름.
2005년 9월 - 차기작 리듬레이싱 게임 "알투비트"가 오픈베타에 들어간다.
2008년 2월 - 마계촌 온라인 발표. 현재까지 개발중이라는 소식만 들린다. 하지만 언제 나온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는다.






쌍용정보통신

97년 - 유일하게 제작된 자체개발 게임 "전사 라이안" 출시. 버그및 완성도 저하로 좆망.

대기업에서 문어발식 경영확장에 따라 유통사업에도 진출하는데 쌍용도 그러한 예이다.
쌍용정보통신이라는 계열사를 통해 게임을 유통하였으며 전사 라이안을 유일하게 자체개발한다.
아마 이후에는 게임유통사업을 정리한듯 하다.






소프트맥스
93년 12월 - 소프트맥스 창업
94년 6월 - 첫작품 리크니스 출시
94년 10월 - 법인전환
94년 12월 - "탄생" 한글화
95년 3월 - 스카이 앤 리카 출시
95년 12월- 창세기전 1탄을 발매한다. 한국게임시장에 폭풍을 불러온 문제작.
96년 9월 - 에임포인트 발매.
96년 12월 - 창세기전 2탄을 발매한다. 한국게임시장에 파란을 몰고오며 10만장의 판매고를 올린다.
97년 12월 - 판타랏사 발매. 야심차게 내놓은 게임이지만 흥행에는 실패한다.
98년 3월 - 서풍의 광시곡 발매. 역시 큰 흥행을 거두었다. 하이콤에서 유통하지만 하이콤의 좆망으로
개발대금을 떼이는 수모를 겪는다.
98년 12월 - 창세기전 외전 2 템페스트 발매. 전작과는 달리 과욕으로 인해 좋은 평을 듣지 못하지만
그래도 흥행에는 성공한다.
99년 12월 15일 - 창세기전 3 발매
2000년 3월 - 커뮤니티 온라인 게임 "포립"의 클로즈베타가 시작된다.
2000년 6월 2일 - "포립" 오픈베타 실시.
2001년 3월 - 창세기전 3 파트 2를 발매. 창세기전 시리즈의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
2001년 5월 - 포립의 "주사위의 잔영" 서비스 시작.
2001년 6월 - 코스닥 상장!
2001년 12월 - 마그나카르타를 발매한다. 야심차게 개발한 작품이지만 버그나까라타로 킹왕짱 욕먹으며
소맥의 흑역사가 된다.
2002년 12월 - 넥슨과 협력을 맺어 "테일즈 위버" 오픈베타를 실시한다. 해외로까지 수출된다.
2003년 6월 - "테일즈 위버" 정식서비스. 현재까지 살아있다.
2004년 2월 12일 - "포립" 브라우저 서비스 종료
2004년 12월 - PS2로 제작된 "마그나카르타 : 진홍의 성흔"이 발매된다.
2007년 2월 - 반다이 외주제작으로 온라인 게임 "SD건담 캡슐파이터"가 서비스된다.
2009년 8월 - 마그나카르타 2를 엑박 360용으로 발매한다.
2009년 4월 30일 - "포립" 웹서비스가 종료됨으로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2012년 공개목표로 "창세기전 온라인"이 수면위로 최근 떠올랐다. 1세대 개발사인 소프트맥스의
운명은 어찌될런지?

이외에도 여러 모바일 게임등을 개발한바 있다. "노리맥스 영웅전" "크로우" 등 여러가지가 있다.
그리고 몬스터 팜 DS와 안녕! 햄토리와 같은 DS게임을 유통하였다.

한때 소프트맥스에서는 패키지 게임이 나가던 시절 자체 유통사 "디지털 에이지"를 세웠으며 쇼핑몰 "엘피앙"도
운영한바가 있다. 하지만 패키지 시장이 어려움을 겪으면서 디지탈 에이지는 없어졌고 엘피앙도 문을 닫았다.









소프트라이

94년 -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유통. 이후 손노리랑 결별.
94년 - 국내최초의 대전액션 게임이라고 하는 "천하무적" 발매. 평은 혹평. 소프트라이 게임스쿨 1기 졸업생들 작품이었다.
95년 1월 - 포인세티아 출시. 어스토를 기억하는 수많은 사람들을 낚는다.
96년 7월 - 타르타로스 출시.

회사 부도 때 사장의 해외 피신 그후 ST 엔터테인먼트로 이어지고
EnK 그룹에 합병되었다는 얘기가 있으나 정확한 정보는 알 수 없다.

98년 - 붉은매 게임화











소프트액션

90년 5월 1일 - 폭스레인저 유통. 국내최초의 IBM PC 상용게임이라고 주장한다.
92년 - 박스레인저 출시.
93년 - 폭스레인저 2 출시.
94년 - 어디스 출시.
95년 - 메카탐정 반슬러그: X-미션
96년 - 폭스레인저 3 출시 - 2편에 이어 연달아 혹평을 얻고 실패하고 만다.
97년 - 어디스 2 출시.
99년 - 클럽래퍼 출시 .
2000년 8월 - SM엔터테인먼트가 소프트액션의 지분을 사들이며 투자를 한다.
2005년까지는 회사가 존속해있던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액션은 이후 PC게임보다는
모바일에 집중했고

`3D 필드 골프'
`스노보드'
`스페이스 레이'
`위닝 랩'
`드래곤 에그' 등 다양한 모바일 게임을 서비스했다. 이후 행적은 모른다. 2008년
까지는 있던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치 않다.

이외에도 랑그릿사 시리즈의 컨버전을 담당하기도 했다. 게임자체의 완성도보다는
사장님이셨던 남상규님의 언플(?)이 더 유명하다고 한다.












손노리
국내에서는 가장 유명한 게임개발사중에 하나일 것이다.

92년 7월 손노리 개발팀 결성.
94년 7월 - 첫 작품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출시. 대박친다.
94년 12월 - 어스토로 인해 한국게임대상 수상.
95년 8월 - 다크사이드 스토리 출시.
97년 11월 - 잦은 발매연기로 욕을 먹지만 2년간의 개발끝에 포가튼 사가가 나온다. 흥행에는 성공하였고
나름 상도 받았다.
98년 - 다크사이드 스토리 2를 발표한다. 하지만 제반여건에 의해 개발이 중단되고 끝내 출시되지 않는다.
98년 2월 - 법인 손노리로 새출발.
99년 7월 - 강철제국 출시. 좋은 평은 듣지 못한다.
2000년 12월 - 그라비티와 협력하여 제작한 "악튜러스"를 출시. 호평을 받지만 상업적으로
크게 성공을 거두지는 못한다.
2001년 9월 - 화이트데이 출시. 하지만 역시 크게 성공하지 못한다.
2001년 11월 - 로커스 홀딩스에 합병된다. 당시 손노리의 재정상태는 그다지 좋지 못했다고
한다.
2002년 5월 - 어스토니시아 R을 출시한다.
2002년 5월 - 플래너스 엔터테인먼트로 상호명 변경.
2002년 11월 - 첫 온라인 게임 "몬스터 꾸루꾸루" 서비스 시작.
2002년 12월 - 카툰레이서 서비스 시작.
2003년 2월 - 카툰레이서 상용화.
2003년 6월 - 넷마블과 플래너스 엔터테인먼트 합병.
2003년 12월 - 플래너스의 사업정리로 손노리가 분사. 새로운 도약을 맡이한다.
이때 이원술과 서관희로 나뉘었고 서관희측이 독립하여 "엔트리브 소프트"를
설립한다.
2004년 3월 - 소프트맥스와 제휴.
2004년 12월 - 패키지 사업을 정리하면서 "패키지의 로망"을 출시. 패키지 시장에
안녕을 고한다.
2006년 5월 - 그라비티와 스타이리아 서비스.
2006년 9월 - 손노리 모바일팀의 박찬규 측이 "아이언노스"라는 새로운
회사로 독립한다.
2006년 10월 GXG용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2 출시.
2008년 8월 19일 - 스타이리아 사망. 실패의 여파가 상당한듯 하다.
2008년 10월 - 아이언노스가 개발한 "어스토 2" PSP버전이 엔트리브에 의해 유통.

현재 손노리는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온라인을 개발하고 있으나 언제 나올지는 모른다.
어스토 온라인에 사활을 건듯 하다. NDS용 게임 지구인 구조 대작전도 발표했는데
손노리가 어스토를 밀어주고 있어 개발이 중지된 상태다.

--------------------------------------------------------

2003년 12월 - 떨어져 나온 엔트리브 소프트는 트릭스터 및 팡야, 그랜드 체이스
를 개발한다. 뭐 아시다시피 팡야의 인기덕에 엔트리브는 싱싱하게 살아있다.

아이언노스는 엔트리브, 대원미디어와 함께 파워레인저를 온라인게임으로 개발한다고 한다.
엔트리브 밑에 있는 듯 하다 .











손오공

1974년 창업 - 이후는 생략하도록 하자.
1996년 - 서울화학에서 손오공으로 법인전환.
2001년 6월 8일 - 엄지곰 곰지 출시
2001년 12월 - 탑블레이드 게임 출시.
2002년 5월 5일 - "별나라 요정 코미" 출시.
2002년 5월 5일 " 우정의 그라운드" 출시
2002년 10월 - 하얀마음백구 2 출시 .

2003년에 본격적으로 패키지 게임 유통사업에 진출한다.

2003년 1월 - 탑블레이드 V 출시.
2003년 2월 "탑블레이드 V 온라인" 서비스.
2003년 4월 8일 - "웹다이버" 출시.
2003년 7월 - "워크래프트 3" 한글화 출시.
2003년 11월 5일 - 제니 출시
2005년 4월 28일 - "배틀비드맨" 출시.
2005년 4월 28일 - "베리베리 뮤우뮤우" 출시.

이후 라이온하트, 이브 버스트 에러 플러스, 홈월드2, 하프라이프, BNB 어드벤처
호빗,크레이지 택시 3 ,풋볼 매니저 2005 ,시라츄 탐험부 다양한 게임을 유통한다.
유통한게 한두가지가 아니니 생략하도록 하자.

2005년 12월 "컴온베이비 온라인" 오픈베타
2006년 3월 "컴온베이비 온라인" 상용화
2006년 11월 - 소노브이 회사의 "샤이아"라는 게임을 중국에서 서비스한다.
소노브이는 손오공 최신규 회장이 100% 지분을 가지고 있는 자회사라고 한다.
소노브이를 통해 현재 "네오 온라인" "베르카닉스" 등을 준비하고 있다.









스튜디오 쟈코뱅

96년 8월 - 사업자 등록
97년 6월 - 디어사이드 3를 출시. 완성도에 비해 대박망한다.

이후 스튜디오 쟈코뱅의 행적은 모른다. 디어사이드 3의 속편 바이올렛넥서스는 모바일로 서비스
되지만 중단되고 말았다. 디어사이드 3의 개발자 이현기님은 2001년 판타그램에 입사했고
"킹덤 언더 파이어"를 개발했다고 한다.








시노조익
97년 5월
97년 - 카운터 블로우라는 게임으로 혜성처럼 나타난다.
97년 - 문화관광부로 "이달의 우수게임상"을 수상한다.
98년 - 에일리언 인카운터를 내놓는다.
99년 - 문화관광부 "이달의 우수게임상" 수상.
2001년 - 3D 온라인 축구게임 "제로컵"을 개발한다.
또한 게임포털 사이트 "조이랜드"를 운영한다.
2001년 9월 - NOG와 바이탈 디바이스를 개발하여 유통한다. 좆망한다.
2001년 8월 - 이천 세계도자기 엑스포 공식게임 "토아" 개발.
2002년 말 - 조이온과 제휴. "조이온닷컴"으로 조이랜드를 통합한다.
2005년 - "제로컵"이 서비스 중단된다.

회사는 2006년에 없어진걸로 보인다. 2006년 이후 소식이 없다.




시엔정보통신

94년 1월 - 시엔아트 설립.
94년 10월 - 이아스 개발.
95년 1월 - 방송용 게임 "비치발리볼" 개발.
95년 2월 - 대전격투 액션 대혈전 개발.
95년 10월 - '인투더썬' 개발.
95년 11월 - "메카닉 워" 개발.
96년 1월 - 티피의 모험 개발.
96년 3월 - 정보통신부 국책기술사업 1차 선정 (초고속 통신망 3차원 에뮬레이터).
96년 5월 - 인터넷 기반 통신엔진 TCP/ IP, IPX 네트워크 프로토콜 엔진 개발.
96년 5월 - 액션게임 "바바리안" 개발.
96년 12월 - "멘탈사이드" 개발.
97년 - 최후의 기회라는 어드벤처 출시.
97년 - 시엔 정보통신 법인화.
98년 - 인디케이트 개발.

시그마텍 - 시엔아트 - 시엔정보통신 - SIC정보통신등 어쩌구 저쩌구
이름만 졸라 바꾸다 98년 망했다고 한다.








아담소프트

96년 9월 - 창업
97년 2월 15일 - 컴백 태지 보이스 출시.
98년 - 최초의 사이버 가수 "아담"의 데뷔음반 출시.
2000년 1월 1일 - 밀레니엄 베이비 하나 탄생
2000년 10월 - 세계최초 온라인 축구 게임 "강진축구" 서비스.
2002년 - 넷마블 서비스.
2007년 4월 - "강진축구" 사망.

회사는 2004년에 없어졌다고 한다.















아디우토


96년 - 디토의 보물을 찾아서
94년에 설립된걸로 보이며 97년까지는 일단 존속한걸로 보인다.






아둑시니 스튜디오

93년 - 하프라는 게임을 제작한다. 당시 공개용으로 제작된 허큘레스 어드벤처였다.
94년 - 이후 지관에서 유통을 하여 VGA로 그래픽업. 음성까지 지원하였다. 하지만 게임은 조용히 묻혔고 이후
제작팀의 활동은 없어졌다. 개발자에 따르면 하프라는 게임에 전투씬을 원하지 않았는데 억지로 집어넣었다고
한다.







이투소프트 (아발론)

98년 9월 - 창업
1999년 9월 - 자체개발 시작. 이때 자사의 팀중 하나가 "디스펠"을 출시한 아발론 소프트다.
2000년 5월 - 디스펠 출시
2002년 11월 - 바스티안 온라인 오픈베타.
2003년 11월 - "제우미디어"와 합병. "바스티안" 판권도 제우미디어로 간다. 제우미디어는 책팔면서
현재까지 살아있다.
2005년 - "바스티안" 사망.

--------------------------------------------------------------------

이후 개발자가 판권을 받아 "바스티안 리턴즈"를 만들었다고 한다.
2007년 오픈베타에 들어간 바스티안 리턴즈는 이후 "레드워 매니아"라는 이름으로 리뉴얼되어
서비스되고 있다.







아블렉스

93년 - 아블렉스 창업.
94년 - "작은 마녀" 개발. 동서게임채널 유통.
95년 - "하데스" 출시
97년 - "아이시스" 개발. 인터넷 지원도 되었다고 한다.

3D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인 매직랜드를 만들기도 했다.

2000년 - "데스티니"라는 머그게임 개발. "레가시" 라는 게임도 만든다. 2005년까지는 존속한것으로 추정.







아이닉스 소프트

98년 11월 - 법인설립.
2000년 9월 - 액션 롤플레잉 게임 "러쉬" 출시.
2001년 7월 - 온라인 게임 "프로젝트 신루" 클로즈베타
2002년 3월 - "프로젝트 신루" 오픈베타
2004년 2월 - 차기작 "칼 온라인" 오픈베타. 해외로 수출된다.

현재는 바닐라 게이트가 클로즈베타중이다.








아트림 미디어
1995년 - 창립되었다.
1998년 - "플러스 : 내 기억속의 이름" 착수.
2000년 2월 - 아트림미디어 법인 설립
2000년 10월 - "플러스 : 내 기억속의 이름"이 출시되었다. 메인프로그래머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등 악재를 겪으며
흥행에 실패핸다.
2000년 12월 - "제로 : 흐름의 원"을 출시.
2001년 11월 - "스카드잼 : 정령석의 구애"를 내놓는다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역시 흥행에는 실패하고 만다.

잇단 실패로 2002년부터 아트림미디어의 차후 작들은 일본에서 발매된다. 아트림미디어는 팀을 분리시킨 뒤 CDPA라는 이름으로
일본에서 활동한다.

"푸른 눈물"
2003년 "계절의 신부" 출시. 한국발매읍다.
"실루엣"등을 만든다. 당연히 이 작품들의 한국발매는 읍다. 푸른눈물의 경우 엑스박스용으로 판서 소프트웨어에서
유통하기로 하지만 실패하고 끝내 철수하고 만다. 어찌되었던 일본에서 3편의 작품만을 내고 게임개발을 접은 것으로
보인다. 현재 게임개발은 안하지만 회사 자체는 존속하고 있는 듯 하다. "임달영"이 대표로 있으면서 코믹스 만화를
제작. "애니메이션,드라마시디,소설"등의 미디어 믹스를 기획하는 쪽에 중점을 두는 듯 하다.



아텍

98년 - 혼돈의 행성 : 언더어택 개발.






아크로스튜디오

95년 - 바리온 제작.






업투데이트

98년 10월 - 개인사업자 등록
99년 11월 - 삼국통일 대륙을 꿈꾸며 출시. 좋은 평을 얻는다. 6만장 판매.
99년 12월 - 신소프트웨어 상품대상 수상.
2000년 6월 - 법인전환.
2002년 6월 - 3D 롤플레잉 게임 "피덱스" 출시.

이후 삼국통일 2도 준비한다. 안나온다.

2003년 - 캐드캠 설계전문회사에서 업투데이트를 인수. "디머스 소프트"로 바뀐다.
이후 미라지 온라인을 준비한다. 그리고 디머스 소프트에서 (주)지젠으로 또 이름을
바꾼다.

2004년까지는 존속했으며 이후 오픈베타 얘기가 없는걸로 보아 망한듯 하다.





열림기획

94년 - YS는 잘맞춰라는 희대의 쿠소게임을 만든바 있다.






에이플러스
93년 최초의 PC 롤플레잉 게임 "홍길동전" 출시.
95년 - 오성과 한음 출시.
95년 - 홍길동전 2 출시 .

패키지 시장의 침체로 해외게임 한글화에 중점하였다고 한다. 언제 어떻게 되었는지는 이후 모른다.






엑스터시팀
94년 - 테이크백 제작. 나왔는지는 확실히 모르겠다.
95년 - 신검의 전설 2 라이어를 제작. 호평을 받지만 성공은 못한다.
95년 - 소설 "도지산검지림"을 게임화하지만 중도에 중단.
97년 - 신혼일기 제작.

이후 활동은 모르겠다. 어찌되었던 팀장이었던 남인환씨는 디지털 임팩트에 간다.








연우소프트

소프트라이 게임스쿨 출신의 일부인물들이 결성하였다고 한다. 참고로 게임스쿨 1기
졸업생들이 만든게 바로 전설의 게임 "천하무적" 이며 두번째 작품이 뮤턴트 DNA다.

96년 - 뮤턴트 DNA 개발.





애니미디어

98년 11월 창업
99년 5월 꼬마토끼 토비 개발 "국내최초" 3D 아케이드 게임으로 호평을 받았다.
2000년 1월 - "다이어트 고고" 출시
2001년 6월 - 벤처타이쿤을 출시한다. 벤처열풍을 타고 나온 경영시뮬레이션 게임으로
디지털 콘텐츠 대상등을 수상하였으며 교재로도 채택되는등 여러모로 좋은 평을 받았다.
2003년 말 - 네오위즈와 손을 잡고 3D 슈팅 아케이드 게임 "아쿠아볼"의 클로즈 베타 서비스에 돌입한다.
2004년 2월 - "아쿠아볼" 오픈베타 실시
2004년 7월 - MBC와 공동으로 "영웅시대" 온라인 게임을 개발한다. 드라마를 바탕으로 한 온라인게임으로
10월부터 서비스예정이었다.

아쿠아볼의 서비스는 현재 중지되었으며 "영웅시대" 개발기사 이후로는 잠수를 탄다.
2005년대에 접어들면서 망한듯 하다.







애니컴

블랙캣츠라는 FMV 성인게임을 제작한다. 이후 행적은 불명이다.








오렌지 소프트 (오에스씨)

98년 - 스팅이라는 게임이 나온다
98년 9월 -머털도사와 백팔요괴를 출시한다. 당시 한국의 이미지를 잘 살리면서 호평을 받는다.
2000년 9월 - 속편으로 머털도사 2 : 천년의 약속을 내놓는다. 전작의 호평과는 달리 좋은 평을 듣지 못한다.
2001년 - 몬스터 나라 판타리아 출시. 게임은 좋은 평을 듣지만 흥행에는 실패한다.
2002년 - '머털도사 액션 머리털을 뽑아라'를 출시한다.
2002년 12월 - 오에스씨 그리스로마 신화 헤라클레스의 모험' 출시.
2003년 - '그리스 로마신화 신화의 제왕 제우스 Vs 크로노스' 를 출시한다.

2003년을 마지막으로 활동이 없다. 망한것으로 보인다.





오픈마인드 월드

1998년 6월 - 열린생각이라는 이름으로 창업.
99년 6월 3일 - 첫 작품 리플레이가 출시된다. 미연시 게임이나 그닥 평은 좋지 않았다.
2000년 8월 - 본격적으로 "오픈마인드월드" 법인이 설립된다.
2000년 9월 - 리플레이 2를 출시한다. 리플레이의 속편이지만 실상은 1탄의 그래픽을 우려먹은 게임.
2001년 8월 - 딸기노트 출시
2002년 8월 - 세라핌 출시
2002년 11월 - 야망의 신화
2002년 12월 - 딸기노트 2 출시
2003년 4월 - 리플레이 3 출시
2003년 8월 - 딸기노트 3 출시
2004년 1월 - 북경반점 출시
2004년 5월 - 리플레이 4 출시
2004년 7월 - 원 끝나지 않은 원한 출시
2004년 9월 - 딸기노트 4 출시
2005년 5월 - 메모리즈 출시
2006년 5월 - 리플레이 5,딸기노트 5 출시
2009년 10월 - 메모리즈 2 발표 (다운로드용으로 제작)

그밖에도 나오지 않은 프로젝트중에 "대동여지도" "우당탕탕 마법학원" "흐르는 별의 기억 속에서"가 있다.
현재 홈페이지는 사라졌으나 네이버 카페와 블로그 등을 통해 흔적을 찾아볼 수 있으며 회사자체도 존속하고 있다.
현재 회사사정이 그닥 좋지 않은 듯 하다. 다작의 게임을 내놓으며 국산 패키지의 자존심을 지키고자 노력했으나
게임 자체의 완성도가 높은 편이 아니라는 점이 문제인듯 하다.








위자드 소프트

위자드 소프트의 전신은 남일소프트로 99년 4월 남일소프트의 경영악화로 경영권이 위자드로 넘어가면서
위자드 소프트의 역사가 시작된다. 여기서는 따로 다루도록 하겠다. 참고로 위자드 소프트는 SKC에서 소프트
웨어 사업부가 떨어져나가기도 한 업체로 여러 게임을 제작 유통한바가 있다.

99년 4월 - 위자드 소프트 설립.
99년 -미국에 현지법인 위자드 소프트 아메리카 설립.
99년 11월 -온라인 게임 "샤이암" 개발. 끝내 공개되지 않음.
2001년 4월 14일 - 포가튼 사가 2 온라인 오픈베타 실시. 꽤나 좋은 성적을 거둔다.
2001년 5월 24일 - 쥬라기 원시전 2가 출시된다. 1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린다.
35억원의 개발비가 들어갔다고 한다. 너무 많은 제작비로 인해 성공을 거두지는 못한다.

2001년 7월 - 코스닥 상장
2001년 12월 - "포가튼 사가 2 온라인" 상용서비스 돌입.
2001년 12월 - 소프트맥스와 게임유통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한다.
소맥의 마그나카르타를 유통한다. 무리한 마카출시로 둘의 관계는 악화.
2002년 - 다수의 게임을 유통한다.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R이라던가, 코코룩, 토막등을
유통한다. 또한 쥬라기 원시전 2 애니메이션 제작에 협력한다.
2002년 9월 - 경영컨설팅사 메가베이스에 경영권이 넘어간다. 이 시점에서 PC게임 유통부문을
대거 축소하고 온라인으로 방향을 튼다.
2002년 11월 - "쥬라기 원시전 2 더 랭커" 출시
2002년 12월 - 학습지 전문업체 '중앙교육입시연구원'을 60억원에 인수. 교육쪽에도 사업을 강화한다.
하지만 정작 회사는 손실을 거듭하는등 경영악화의 일로를 겪는다.
2003년 3월 - 하나로드림과 게임사업협력. 2003년에도 게임유통을 계속한다.
2003년 3월 - 창립멤버였던 "심경주" 대표가 경영악화의 책임을 지고 사임. 대표가 교체된다.
2003년 10월 - 대표가 또다시 변경된다. 게임사업을 아예 정리한다는 불안감이 업계에 가중된다.
2004년 1월 - "위자드소프트" 대표인 "임호길" 대표이사가 회사자금 22억원을 횡령하는 사태가 터진다.
위자드소프트의 주식은 곤두박질친다.
2004년 3월 - 광통신장비 제조업체 "레텍커뮤니케이션"에 인수된다.
2005년 3월 - 레텍커뮤니케이션과 합병. SNH로 변경된다. 이로써 위자드 소프트는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

2003년 8월 - "심경주"가 새로운 게임에서 네오리진을 설립.
2005년 8월 - 젤리젤리의 클로즈베타 실시.

- 이후 뭐하는지 모른다. 밥은 먹고 다니시는지.

-------------------------------------------------

위자드 소프트 출신의 윤종태씨는 이후 스튜디오 실프를 설립한다. 2004년 제작한 게임을
클로즈베타에 들어가나 망했다.

--------------------------------------------------

2003년 2월 - 위자드 출신개발자들과 박준서 사장이 모여 아라곤 네트웍스를 창업한다.
샤인 온라인개발에 돌입.
2006년 4월 - 샤인 온라인 오픈베타 실시.
2006년 말 - 샤인 온라인 사망.
2007년 2월 28일 - 아라곤 네트웍스에 인수했던 포가튼 사가 2 온라인 사망.
2007년 6월 - 온스온 시스템으로 상호변경. 샤인 온라인을 "피에스타 온라인"으로 재탄생 시키려고 한다.
피에스타 온라인 오픈베타 돌입.

피에스타는 현재까지 살아있다. 불행중 다행.





지투지 엔터테인먼트

2002년 5월 5일 - 큐빅스 출시.
2002년 9월 - 롤플레잉 게임 엘릭서 출시
2003년 12월 - 롤플레잉 게임 더로드 오픈베타.
2007년 - 차기작 오르카 온라인 서비스.
2008년 4월 - 서비스 중단.

이와중에 지투지 엔터테인먼트도 사망.










조이맥스

97년 4월 - 조이맥스 설립.
1999년 1월 - 파이널 오딧세이 출시. 2년 가까운 개발을 들였으나 조급하게 출시를 해버려 좆투더망했다.
그래도 해외수출의 성과를 거두었다.
2000년 12월 - 아트록스 출시. 하지만 망한다.
2001년 7월 - 탱구와 울라숑을 출시. 꽤나 좋은 평을 들었는지는 모르겠는데 성공을 거둔다.
2002년 12월 - 탱구와 울라숑 2 출시.
2003년 2월 - 야인시대 출시. 아무도 관심을 가져주지 않는다.
2003년 8월 - 요랑아 요랑아 출시.
2004년 말 - 야심차게 준비한 작품 "실크로드 온라인" 오픈베타. 어머나 이후 대박.
2005년 4월 - "실크로드 온라인" 상용화
2006년 4월 - 샌프란시스코에 미국지사 설립.
2006년 11월 - 100만불 수출탑 수상.
2008년 11월 - 2천만불 수출탑 수상.
2009년 6월 - 코스닥 상장.

현재 차기작 범피 크래쉬가 클로즈베타중이다.









진영테크놀러지

97년 4월 - 모비드 발매. 그해 8월 문체부 주관 우수게임 선정이란 경력을 가지고 있다.






재미 시스템

1996년 1월- 창업
97년 1월 - 아트리아 대륙전기 출시
98년 1월 - 이리너 출시
98년 1월 - 황금임파서블 출시
98년 - 아트리아 대륙전기 2를 출시한다. 하지만 좋은 반응은 얻지 못한다.
99년 7월 - 엑스톰 3D 출시. 해외수출로 호평을 얻는다.
2000년 9월 - '레드문' '워바이블'을 제작한 제이씨엔터테인먼트와 합병.
2001년 1월 - 액시스를 출시한다. 큰 호평을 받았으나 흥행에 실패. 저주받은 명작이 된다.
한때 게임리그도 개최된 바가 있다.

그리하여 재미시스템은 합병되어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현재 제이씨 엔터테인먼트는 프리스타일과
고스트 X를 서비스하였고 코스닥에 상장하는 등 생기발랄하게 살아있다. 재미 시스템은 사라졌지만
이 회사의 작품들은 게이머들에게 많은 인상을 주었다.






퀘이샤

98년 - 하이콤에서 유통한 가이스터즈 개발.






키드 앤 키드 닷컴

2000년 - 설립
2000년 5월 - 롤플레잉 게임 "까꿍외전 : 혼돈의 땅" 출시.
2000년 11월 - 멀크와 스웽크 출시
2000년 12월 - 하얀마음 백구 1 출시. 흥행에도 성공한다. 15만장이나 팔림.
2000년 12월 - 부메랑 파이터 개발.

이후 손오공과 라이센스 분쟁이 일어났고 손오공에서 2편이 제작된다.

2002년 2월 - 사커키드 2002 출시. 비스코 유통
2002년 11월 - 하얀마음 백구 3 출시.
2003년 - 버블슈터 서비스.
2004년 3월 - 아동용 게임시장을 포기. "엔로그 소프트"로 변경.
2005년 4월 - 차기작 메카닉 게임 "바우트" 오픈베타.
2005년 10월 - PS2 온라인 대응 어드벤처 게임 "미스틱 나이츠" 출시.
2007년 2월 - RTS 온라인 게임 "다크니스 앤 라이트 " 공개. 클로즈베타에 들어간다.
2007년 11월 - 중국게임사 CDC게임즈와의 계약위반 분쟁이 터진다.
2008년 1월 - 바우트 시즌 2
2008년 9월 18일 - 바우트 서비스 종료.

"다크니스 앤 라이트"는 클로즈베타만 이루어졌고 현재까지 나오지 않고 있다.
현재 회사도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트론웰 소프트

페이트는 나래디지털 엔터테인먼트에서 개발된 게임. 하지만 게임사업포기로 우여곡절을 겪는다.

99년 11월 - 창업
2002년 1월 - 트론웰에서 게임사업부 신설. 페이트 개발이 이어진다.
2002년 5월 - 페이트 출시. 무려 개발기간만 3년이 걸렸다는 게임.

이후 게임보다는 PC 사업에 중점을 둔 모양이다. 기사를 보면 슬림PC 얘기가 있다.

2003년 3월 - 화끈하게 부도.








트윔

1989년 1월 - 창업
92년 11월 - 최초의 국산 어드벤처라 알려진 "파더월드" 출시
93년 11월 - 3D FPS 게임 "임꺽정" 개발. 독자개발이 아니며 어포지에서 받은
울펜슈타인 엔진으로 개발되었는데 크게 한 역할은 없었다고 한다.
94년 6월 - 통코 출시
95년 1월 - 마거스 출시
96년 1월 - 통코 2 출시
96년 12월 - 통코 3 출시
98년 1월 - 통코 4 출시
2000년 초까지는 존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의 행적은 불명. 뭐 망했겠지.






판타그램

87년 - 처음 개발팀이 모인다.
94년 6월 판타그램이 창업된다.
95년 12월 - 첫 작품 "지클런트"가 발매된다.
96년 4월 - 법인전환
96년 9월 - 지클런트 일본수출
97년 11월 - 포가튼 사가를 유통한다. 정통부 주관 신소프트웨어 상품대상 수상!
99년 10월 - 에이도스의 3D 롤플레잉 게임 레버넌트에 "블루엔진" 라이센스를 제공하기도 했다.
99년? - 샤이닝 로어 개발이 시작된다. 당시 드림캐스트로도 출시될 예정인 롤플레잉 게임으로
끝내나오지 않고 온라인으로 나온다.
2000년 12월 - 킹덤 언더 파이어를 출시한다. 20억원의 개발비 3년간의 개발기간을 투자한 게임으로
10만장의 판매고를 올린다. 해외에서만 3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으며 대한민국 게임대상 PC부문에서
상을 수상한다.
2001년 - 확장팩 "킹덤 언더 파이어" 골드를 출시한다.
2002년 3월 - 온라인 게임 샤이닝 로어 서비스가 시작된다. 누적가입수 10만명을 돌파하는등 큰 인기를 끈다.
하지만 재정압박으로 상용서비스 직전에 엔씨소프트와 협력을 하기로 한다.
2002년 12월 - 샤이닝 로어가 엔씨에 의해 인수된다.
2003년 11월 28일 - 그지같은 퍼블리싱과 더불어 샤이닝 로어 사망. 이후 엔씨와의 협력관계는 쫑나며
개발자들은 뿔뿔이 흩어지고 이상윤 사장은 게임개발자로의 길까지 고민하게 된다.
2004년 10월 - 절치부심한 마음으로 엑박용 게임 "킹덤 언더 파이어 : 크루세이더" 출시. 45만장의 판매고를 올린다.
2005년 9월 - "킹덤 언더 파이어 히어로즈 " 출시
2007년 12월 - "킹덤 언더 파이어 : 써클 오브 둠" 출시.

현재 킹덤 언더 파이어 2를 제작중이다.

한때 방황의 길(?)을 걸었으나 킹덤 언더 파이어의 성공으로 현재 잘나가는 기업이 되었다. 해외수출까지
잘되어 국산게임의 자존심을 살렸으니 이 어찌 좋지 아니한가.






패밀리 프로덕션
92년 12월 - 결성
93년 4월 - 페르시아 왕자 스타일의 액션게임 "복수무정" 출시.
94년 4월 - 피와 기티 출시.
94년 7월 - 사업자 등록
94년 11월 - "일루전 블레이즈" 출시.
94년 12월 - "레온의 모험" 출시
94월 12월 - "피와 기티 스페셜 " 출시.
95년 1월 - "인터럽트" 출시.
95년 3월 - 패밀리 프로덕션 법인설립.
95년 5월 - "샤키" 출시.
95년 5월 - "에올의 모험" 출시.
95년 9월 - "올망졸망 파라다이스" 출시.
96년 1월 - "디지털 코드" 출시.
96년 7월 - "피와기티 2" 출시.
97년 1월 - 한가족게임 출시.
97년 2월 - "크리스탈 맵" 출시.
97년 3월 - SAF 비밀병기 제작. 유통사 코가의 부도로 빛을 못봄.
97년 11월 - 어드벤처 게임 "에올의 환상의 섬 구출작전" 출시.
97년 12월 - "영혼기병 라젠카 출시"
98년 5월 - "은색의 용병" 출시.
98년 -"하트 브레이커즈" 출시. 당시 큰 화제를 모음.
99년 - "사다리 챔프" 제작.
99년 - "댄스댄스 다이어트" 제작.

해외시장 개척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아케이드 게임에서 특히 높은 위치를 차지한 개발사로 흥행에서도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2000년 이후 - 어뮤즈월드의 전신인 "AM테크"에 합병. 아케이드 시장에 진출하며 "어뮤즈월드"로 바꾼다.
패밀리 프로덕션은 "패밀리웍스"로 바꿔서 Ez2DJ 개발을 하게 된다. EZ2DJ 3rd, 4th등지에 참여하였다.

이후 원더러쉬라는 온라인 게임 개발에도 손을 대지만 나오지 않는다. 패밀리웍스 개발진들은 2002년
이후 대부분 회사를 떠났고 주축으로 모여 새로운 회사를 만드니 바로 "펜타비전"이다. 2003년 나온
"EZ2DJ 5th TraX Platinum"이 펜타비전의 손에서 만들어진 것이다.

플래티넘 이후 대부분의 멤버들이 떠났고 이제 펜타비전에서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
우리도 잘 알다시피 "펜타비전"은 바로 "디제이맥스"를 낸 회사.

2003년 - 펜타비전 설립
2004년 - 디제이맥스 온라인 제작.
2006년 - 네오위즈에 합병. 외주개발 스튜디오로 있다.
2006년 - 디제이맥스 포터블 출시. 7만장 판매
2007년 - 디제이맥스 포터블 2 출시 - 8만장 판매.

디제이맥스 시리즈를 바탕으로 얻은 인지도와 개발능력으로 게임뿐만이 아닌 사운드 부분 등 다양한
분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펌프킨 소프트웨어
97년 설립
98년 해저드 플러스로 호평을 받는다.

해저드 2를 개발하지만 회사사정으로 마무리 되지 못한다. 2002년 11월에 롤플레잉 게임 "스킨"을 개발하고
키즈퀴즈랜드라는 아동용 온라인 게임을 개발한다는 소식이 마지막이었다.

이후 활동은 알수없다.







타프시스템
92년 창업한다.
94년 낚시광 1을 출시한다. 10만장의 판매고를 올렸다.
이후 낚시광 2도 나왔다.
98년 - 3D로 탈바꿈하여 대물낚시광을 출시한다. 대물낚시광은 700만달러에 수출되는등
해외에서도 대성공을 거둔다.
2000년 6월 - 대물낚시광 2를 출시한다.
2000년 10월 - 코스닥에 상장된다.
2000년 - "붕가붕가"라는 게임으로 아케이드 사업에도 진출하였다.
2001년 1월 - 못말리는 탈옥범을 출시한다.
2002년 2월 - 대물낚시광 3를 출시한다.
2002년 - 딩가 곤충나라 대모험을 하나로 통신과 공동으로 개발하였다.
2003년 - 3D 온라인게임 "루시아드"를 개발한다. 2차 클로즈베타 이후 중단.
2003년 5월 - 네오위즈가 58억원을 투자. 타프 시스템을 전격인수한다.
이후 타프 시스템 경영진들이 네오위즈 인사로 교체된다. 영업부진으로 100억원대의
손실을 기록한다.
2004년 3월 - 엔틱스 소프트로 변경. 개발중이던 루시아드는 "요구르팅"으로 변경되었다.
2005년 5월 10일 - "요구르팅"의 오픈베타가 시작된다.
2005년 11월 - 엔틱스 소프트가 바이오벤처인 "엔비텍"에 매각되었다.
네오위즈는 보유지분 전량을 엔비텍에 매각하면서 엔틱스 소프트는 바이오 벤처회사가
되었다. 이후 엔틱스는 2006년 4월 미국의 인공간 개발회사 "헤파호프코리아"로 건너갔다. 이후 상호명이
네오시안이 되었으며 헤파호프 코리아에 합병되었다.
2006년 2월 - 엔틱스 소프트에서 게임분야가 분할되어 다시 네오위즈에게 인수되었다.
"레드덕"이라는 이름이 되었다.
2007년 2월 - 엔틱스 소프트의 작품 "요구르팅" 국내 서비스 종료.
2007년 7월 - 우리가 잘아는 FPS 온라인 게임 "AVA" 가 오픈베타된다. 네오위즈의 레드덕 개발사의
전신이 바로 "엔틱스 소프트"이며 조상이 바로 "타프 시스템"이 된다는 것이다. 물론 과거의 모습은
보기 힘들 것이다.

타프시스템은 게임만을 만든걸로 알려져 있지만 국방부 인증 군납업체이기도 하며
KT인증을 받은 3차원 시뮬레이션 노하우를바탕으로 탱크와 발칸포 시뮬레이터 등을 개발하기도 했으며
GPS등에서도 활약을 했다.타프시스템은 낚시광이라는 게임으로 알려져 있지만 GIS 소프트웨어등
여러 다양한 분야에서 사업을 해온 업체로 3D 기반기술 전문업체로 명성을 쌓기도 했다. 그 기술력을
바탕으로 낚시광을 개발하여 해외에 수출하는 대박을 터뜨리기도 했다.

여러면에서 잘나갔던 타프시스템의 모습은 볼 수 없지만 이제 "아바"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남아있다.









트리거 소프트

95년 - 창업
96.2 라스트 윈버러라는 SRPG를 개발한다.
96년 - 충무공전이 나온다.
97년? - 패닉 솔져가 나온다.
98년 10월 -롤플레잉 퇴마전설 1 출시.
98년 - 보스 1999라는 게임을 출시한다. 당시 정식버젼을 출시하려 했으나 폭력성으로 인해 심의에 걸리고 대폭 수정하여
출시가 가능했다. 이후 정식출시판인 회사판과 다운로드판인 "조직판"이 돌게 되었다.
99년 1월 - 충무공전 2 출시
2000년 1월 - 장보고전 출시.
2000년 11월 - 태조왕건 : 제국의 아침 출시
2001년 5월 - 퇴마전설 2 출시.
2001년? - RTS 게임 카오스를 제작하지만 끝내 출시되지 못한다.
2003년 10월 - 실시간 RTS 온라인 게임 라크무 오픈베타에 들어간다. 하지만 끝내 정식으로 나오지는 못한다.
2004년 9월 - 로즈 온라인을 개발한다.
2005년 5월 - 그라비티에 합병되면서 트리거 소프트는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2007년 4월 18일 - 로즈 온라인 서비스 종료 .




트릭 소프트

쥬라기 원시전을 96년 출시하였다.
이후 98년 쥬라기 원시전 2를 개발하였으며 유통사는 SKC로 예상되었으나
밉스 소프트에 2001년 합병되었다. 일부 인력은 위자드로 건너갔고 쥬라기 원시전 2 판권도
위자드로 갔다.



하이콤

88년 12월 - 회사설립
93년 - 패미콤용으로 까치와 노래친구 제작.
96년 푸쉬푸쉬 출시
97년 스틸헌트 출시
97년 4월 코룸 1출시
98년 1월 코룸 2 출시.
99년 코룸 3 출시.

98년 IMF 여파로 하이콤이 부도가 났는데 이때 서풍의 광시곡 대금을 떼먹었다는 야사가 내려온다.
어찌되었던 사활을 걸고 제작한 코룸 3의 대박으로 기사회생하고 하이콤 엔터테인먼트로 이름을
바꾸었다고 한다.

게임개발을 더 했는지는 모르겠으나 하이콤은 다수의 게임을 유통한바가 있다.


2000년 1월 - 코룸 외전 : 이계의 강림자들 출시.
-------------------------------------------------------------------------------------------------------

하이콤이 없어지고 이소프넷이 된다. 2000년에 들어 하이콤(1999년 12월)과 FEW와 (2000년 5월)( 합병. 새로운 역사를 시작한다.
이소프넷의 경우 자체 개발 패키지가 없는듯 하여 하이콤과 통합적으로 게시하였다.
(코룸외전은 하이콤 당시 작품으로 보인다)

1999년 10월 - 이소프넷 설립
2000년 - 드래곤 라자 온라인을 서비스한다. 게임유통 사업을 활발히 벌였으며 이때 당시부터
출시한 게임이 여러가지 있는데 천년의 신화,오니,이스 2 이터널,유니미니펫등이 있다.

2001년 초 - 드래곤 라자 온라인이 대만에서 서비스 된다.
2002년 2월 - 엔에이지 온라인 오픈베타
2002년 중순 - PC 패키지 게임 유통사업을 대거정리,축소한다.
2003년 5월 - 코룸 온라인 등장.
2003년 9월 - 코룸 온라인 오픈베타
2003년 12월 - 플래너스와 이스 온라인 개발계획을 발표한다.

하지만 회사는 2004년에 접어들며 경영이 악화일로를 걷는다. 결국 2004년 말 이소프넷은
법인이 청산되며 역사속으로 사라진다. 이로써 묵향온라인,엔에이지,코룸,드래곤 라자 4개의 게임과
개발중이던 이스온라인은 붕 뜨게 된다. 이소프넷의 온라인 게임 사업부는 각각 법인으로
독립하였다.

2004년 7월 - 엔에이지 매각. 세다 온라인에 건너갔으며 현재도 서비스중이다.
2004년 10월 - 묵향온라인은 이야인터렉티브로 건너간다. 현재는 "타이탄온라인"으로 바꿔 서비스중이다.
2005년 1월 - CJ인터넷이 이스온라인 개발팀 인수.
2005년 3월 - 이소프넷 출신의 직원과 함께 아레아 인터렉티브를 창업. 드래곤 라자 판권을 인수하였으며
무료화를 선언한다. 현재까지 살아있다 .
2007년 7월 - 이스온라인 오픈베타. 평은 그다지;

코룸온라인도 넷타임에서 서비스되다가 엔도어즈로 2009년 2월 매각되었다.









한겨레 정보통신
93년 2월- 온라인 솔루션 개발업체 CTS로 출발한다.
94년 5월 - 한겨레 정보통신으로 시작.
96년 12월 - 롤플레잉 게임 "에스퍼" 제작.
97년 3월 - 국내최초의 폴리곤게임이라고 주장하는 "왕도의 비밀" 출시.
제 1회 대한민국 게임대상 수상.

---------------------------------------------------------------

1999년 7월 - 디지털 드림 스튜디오로 변경. 애니메이션 제작에 주력한다.
2000년 - 애니메이션 회사로 간 디지털 드림 스튜디오는 한때 300명이 넘는
직원을 보유하는등 큰 확장을 거듭하며 미국시장에도 진출한다.
2000년 4월 - 런딤 제작발표회.
2000년 6월 - 버추얼 코리아 2000 출시.
2000년11월 - 리니지를 3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한다고 발표. 물론 안나왔다.
2001년 11월 - "미래전사 런딤" 이 개봉된다. 한일 합작으로 TV시리즈로도 제작된바가 있다.
흥행은 개쪽박 찬다.
2001년 12월 - "둘리의 깐따삐아 게임리그" 출시
2002년 9월 - 코스닥 등록실패로 대표가 이정근 대표이사가 물러나고 회사를 떠난다.
2002년 12월- 애니메이션 "열대펭귄 페닝"이 전파를 탄다.

오래전부터 100억원대의 애니메이션 "아크"가 제작되었다. 2003년 개봉을 앞두고
있으나 끝내 나오지 않는다. 참고로 아크 온라인도 제작되었다. 아크 온라인의 경우
회사 엎어지고 이후 미국에서 제작되어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 .

2003년 1월 - 아크온라인 오픈베타
2003년 2월 - 최초의 엑스박스 게임이라는 스노우모빌 레이싱을 하반기에 선보일 예정이나
안나왔다.
2003년? 2004년? - 꼬마대장 망치 게임 출시.

디지털드림스튜디오는 코스닥 상장실패와 더불어 경영난을 겪고 이후 사라졌다고 한다.
아크 애니메이션은 이후 미국에서 나왔다고 한다.









한텍정보통신

98년 11월 - 제천대성 출시

주로 교육용 게임개발에 중점을 둔듯 하다.

2003년 - 온라인 게임 "시아크" 개발.
2003년 12월 - 시아크 오픈베타
2004년 초 - 시아크 서비스중단

이후 행적은 불명으로 2004년에 망한 것으로 보인다.












HQ팀

92년 - 창업.
97년 1월 - 임진록 출시. 좋은평을 받는다.
98년 - 업그레이드 버전 "임진록 : 영웅전쟁" 출시.
98년 - "이스트" 제작.
2000년 1월 - 임진록 2 출시.
2000년 8월 - 천년의 신화 출시. 좋은 평을 받았다. 경주 엑스포 공식지정게임.


HQ팀은 이후 감마니아 (조이온)에 합병된다.

-------------------------------------------------------------------------------------------------

2002년 - 조이온에서 임진록 2 엔진을 가져다 써서 "거상" 개발. 2002년 5월 상용화된다.
2003년 - 조이온에서 신작 "동토의 여명"을 개발한다. 테스트까지 마쳤으며 거의 출시직전이었으나 끝내 나오지 못했다.
이후 조이온은 꾸준히 패키지 게임을 개발.

2003년 8월 - "천년의 신화 2 : 화랑의 혼" 출시. 실패.
2003년 10월 - 국산최후의 RTS "해상왕 장보고" 출시. 배틀렐름 엔진까지 가져다 써도 망함.
2005년 12월 - 스포츠 복권업체 "로토토"를 인수. 회사명을 조이토토로 변경.
2006년 3월 - 조이토토와 조이온 합병. 코스닥 우회상장.
2006년 - 거상 2 클로즈베타 시작. 우리 게이머들의 반응은 냉담했다.
2006년 11월 - 조이온 대표 "조성용"이 주가조작 혐의로 구속. 주가가 곤두박질 치기 시작한다.
2007년 4월 - 조이토토 측에서 게임포털 "올리브 게임"을 내놓는다.
2007년 5월 3일 - 거상 2 좆망. 개발진들이 뿔뿔이 흩어지면서 희망은 사그라든다.
개발중이던 게임인 "신암행어사 온라인" 도 사망.
2008년 4월 - 상장폐지.

타격이 컸는지 온라인 게임 개발은 안하고 현재 올리브게임이라는 게임포털로 근근히 먹고사는 듯 하다.
거상 판권도 다른데로 건너가버린지 오래다.



<한때 좀 나갔던 조이온의 현재모습. 올리브게임으로 먹고 살고 있다.>













KCT

90년 3월 - KCT 미디어 설립
91년 3월 - 일본 크로스데스크 설립
94년 12월 - 게임산업 진출
96년 12월 - 게임개발 착수
98년 10월 - 날아라 슈퍼보드 환상서유기 출시.
99년 6월 - "날아라 슈퍼보드 외전 : 사오정랜드 대소동"
2001년 4월 - "날아라 슈퍼보드 외전 2 - 격투대소동 '출시
2001년 8월 - 짱구는 못말려 5 개발.
2002년 2월 - "날아라 슈퍼보드 - 이오니아 브레이크" 출시.
2002년 3월 - 파랜드 택틱스 5 한글화

KCT미디어에서는 컴파일과 함께 컴파일코리아를 설립한바 있다. 컴파일 부도이후 KCT에서 만든 "조이나라"와
"다게임"등지에서 "뿌요뿌요 온라인"과 "김치런"등을 서비스했다. 이후 다게임이 망한뒤 로플에서 서비스했고
2006년쯤에 망했다. KCT는 현재 찾아볼 수 없다.










KRG 소프트


97년 7월 창업
97년 12월 - 드로이얀1 출시. 호평을 받으며 해외에도 수출된다.
98년 8월 - 드로이얀 넥스트 출시. 흥행에는 실패.
2000년 3월 - 드로이얀 2 출시.
2001년 6월 - 열혈강호 발매. 흥행에는 크게 성공하지 못한다.
2002년 4월 - "드로이얀 온라인" 오픈베타
2003년 6월 - 이네트에 14억원에 인수. 이네트는 게임사업에 진출.
2004년 11월 25일 - 열혈강호 온라인 오픈베타. 해외에도 수출되는등 대박을 친다.
클로즈베타 이전에도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2005년 1월 - 이네트 지분매각. KRG는 이네트에서 떨어져 나간다.
한편 열혈강호 온라인은 상을 수상하였고 상당히 잘나간다.
2006년 12월 - 열혈강호 온라인 2 발표.
2007년 - 창립멤버이자 대표였던 "박지훈" 대표가 퇴사한다. 이후 꾸러기 소프트를
설립. 위 온라인을 개발한다. 현재 비공개 테스트중이다.

2009년 7월 - "열혈강호 온라인" 전 세계 누적매출액 1844억원 기록.
회원수 1억명 확보.

열혈강호 온라인 2를 내놓을 예정이나 정확한 날짜는 미정이다.










LG 소프트

1985년 금성소프트웨어 설립. 90년대에 게임유통을 했다.
1990년대 중반 - 여러 외국게임들이 LG를 통해 들어온다. 우리가 아는
"빙하의 추적" "칸비의 복수" "스파이크래프트" 등 다양한 게임들이
한글화되었고 출시되었다.

LG에서는 한때 3DO사업에도 진출하지만 96년 좆망하고 포기하였다고 한다.

97년 6월 - 스톤엑스를 개발하여 출시한다.
98년 - IMF의 여파로 구조조정에 따라 LG소프트 게임사업부가 정리된다.
98년 4월 출시했던 스타크래프트의 판권이 이때 한빛 소프트에 건너갔다
99년 1월 - LG컨텐츠 사업팀장 김영만 사장이 한빛 소프트를 설립. 스타
크래프트 판권이 한빛으로 갔고 그 이후는 볼필요도 없다.

탈이라는 게임도 LG걸로 알고 있는데 한빛에서 유통되었다.







FEW

96년 설립
96년 장군출시
96년 1월 - 천상소마 영웅전 출시
97년 야화 출시
97년 - 도쿄야화 출시
97년 11월 - 북명 출시
98년 1월 - 천상소마영웅전 2 출시
98년 4월 - 도쿄야화 2 출시
98년 5월 - 브리트라 출시
98년 8월 - 야화 2 출시
98년 9월 - 각시탈 출시
99년 - 쿼바디스 출시
블러디 아리아 출시

몇편의 게임이 더 있는듯 한데 확인이 어렵다. 어찌되었던 2000년에 들어
FEW는 하이콤과 합병된다. 이후 야사는 하이콤란을 참조토록 하자.






Hybrain

97년 - 라브린토스 개발. 실사게임으로 패키지화되지는 않은 듯 하다.




L&K 로직코리아

1997년 5월 - 창업
2000년 6월 - 법인전화
2000년 9월 - 첫 작품 "거울전쟁 악령군" 출시. 많은 호평을 받는다.
2001년 12월 - 거울전쟁 어드밴스드 - 은의 여인 출시.
2003년 5월 - 신작 "붉은보석" 오픈베타
2004년 1월 - "붉은보석" 상용화

이후 붉은 보석은 졸라 잘나간다.
현재까지도 서비스 되고 있으며 최근 모바일 버전도 나왔다.









TG엔터테인먼트

97년 - "어쩐지 좋은일이 생길것 같은 저녁" 출시.

이후 다른회사인지 같은회사 모르는 이루너스에서 2001년 속편 "스톰"을 출시하나 얼마안가 회사가 망했다고 한다.







비스코

92년 3월 - 창업
93년 12월 - 코에이와 판권체결
94년 3월 - 삼국지 2를 필두로 게임패키지 유통 개시. 4개 출시.
95년 10월 - 코스모데이타 합병. 삼국지 영걸전을 포함 5개 출시.
97년 4월 - 디어사이드 3 출시
99년 12월 - 삼국지 인터넷 서비스.
2000년 2월 - 아스키사와 판권체결.
2003년 4월 - 마지막 유통게임으로 알려져 있는 "열대펭귄 페닝" 출시.
2003년 말 - 게임유통을 계속하다가 사업정리. 이후 뭐했는지는 모른다.


http://www.qmud.com/bbs/zboard.php?id=tambang&page=10&sn1=&divpage=1&sn=off&ss=on&sc=on&si=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
http://game.sonokong.co.kr/infor/pc_game.aspx?GameID=1010
http://blog.naver.com/imays?Redirect=Log&logNo=150011533286
https://www.saramin.co.kr/zf_user/recruit/company-info-view/idx/2760997 : 디지털 임팩트 연혁
http://blog.naver.com/yunki798?Redirect=Log&logNo=40019687743
http://femusic.egloos.com/77143
http://krucef.springnote.com/pages/8110 : 한국게임 DB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9&aid=000006072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9&aid=0000030265&
http://gamenest.co.kr/110047229200 : 소프트액션
http://blog.naver.com/nihilithm?Redirect=Log&logNo=4323614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15&aid=0000341899&
http://www.dragonflygame.com/Dragonfly/History.aspx : 드래곤플라이 홈피
http://www.yuchi.net/bbs/zboard.php?id=guest&no=374 : 이소프넷의 추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0&aid=0000101535&
http://gameshot.net/common/con_view.php?code=AA00021397 : 그리곤과 미라 스페이스
http://www.bulshow.com/page/hpo/hpo.php : 한국 프로야구 온라인 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8&aid=0000354025&
http://difeca2000.donga.com/enterprise.html
http://memories002.wordpress.com/ : 메모리즈 2 블로그
http://blog.naver.com/omworldgame : 오픈마인드 월드 블로그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1&aid=0000994069& : 트리거 소프트 인수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0&aid=0000090750& : NC와 판타그램
http://www.phantagram.co.kr/Company/history.asp : 판타그램 홈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20&aid=0000052712& 타프시스템
http://www.mobileinfo.co.kr/company/icom_list.html?info_l_code=g : 게임개발사 모음
http://www.dsnet.co.kr/ : 동서게임채널 공식홈피
http://blog.naver.com/sagetale?Redirect=Log&logNo=60017262784
http://blog.naver.com/sagetale?Redirect=Log&logNo=60017262784
http://webzine.inven.co.kr/news/?news=23233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612120223 : CJ의 나비야 엔터테인먼트 인수
http://www.mobileinfo.co.kr/company/com_view.html?num=418&page_num=1&list_num=6&list_ea=30&return_url=icom_list.html&info_l_code=g&info_s_code=gA&mode=&j_l=&j_l_code=&s_name=&s_item=&s_region=&sub_search_where=&sub_search_word=
: 나비아 엔터테인먼트 연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09&aid=0000056806& : 트릭소프트 합병

 

-루리웹  물개의 수욤님

국산게임개발사흥망사.txt

Posted by 롤링다이스
,

##국내 제작 게임 리스트(회사명 가나다순) Ver 0.51 ######################
Generated by Enzoy
__가람과 바람 게임제작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 나우누리 게임제작 포럼에서 소모임으로 시작.
1996.?? 8용신전설 저해상도 버젼 제작.
1996.?? 밉스에 개발팀으로 입사.
1997.12 밉스에서 나옴.
1998.05 카마디지털엔터테인먼트에 입사.

o.제작게임
1998.02 8용신 전설 - RPG. 개발 가람과바람 in 밉스(판매).
1998.__ 레이디안 LEITHIAN - ARPG. 개발 가람과바람 in 카마 엔터테인먼트.

/팀장은 김무광씨. 가람은 강의 고어. 팀원 개개인의 멀티플한 능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상황에 대처할수 있고 유동적으로 작업을 잘해내려고 노력.

__가이아 GAIA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 크레쉬 다이브 - 3D 격투대전.

__게임과 멀티미디어 (이거 회사 이름 맞나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프로토코스 - 좋은 평이 많았지만 홍보가 덜됨.
19??.?? 가이노스

/혹시 오메가사와 상관 있는지?

__그라비티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 아트크레프트 창립.
19??.?? 맴버 변동과 함께 그라비티로 개명.
1998.06 회사 등록.

o.제작게임
1994.07 리크니스 - ARPG. 원더보이식 아케이드. 약간의 RPG성. 그라비티의
모체 아트크래프트(당시 in 소프트맥스) 제작. 소프트타운 발매.
1995.?? Lars the wonderer - ARPG. 원더보이 형식의 아케이드. 많은 RPG성.
제작 그라비티 in S&T ONLINE, 유통 삼성.
1998.01 개미맨2 - 횡스크롤 액션. 윈95용. 다관절 시스템. 제작 그라비티,
영업 남일, 유통 SKC.

/김학규님의 제작진. 아트크레프트라는 이름이었다가 맴버에 변동이 생기며
그라비티로 이름을 바꿈. 국산 게임에 있어 깔끔하고 세련된 캐릭터 디자인
과 부드러운 스크롤과 화면처리의 개척자.
홈페이지: http://www.gravity.co.kr

__남일 NAMIL SOF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CAMPUS LOVE STORY - 동급생류 미소녀 관람 어드밴쳐. 유통 SKC.
19??.?? CAMPUS LOVE STORY 2 - 동급생류 미소녀 관람 어드밴쳐.
19??.?? 개미맨1 - 횡스크롤 액션. 만화 개미맨의 오락화.
1998.01 개미맨2 - 횡스크롤 액션. 윈95용. 다관절 시스템. 제작 그라비티,
영업 남일.
1998.08 나의 신부 - 연애 시뮬. 캠퍼스 러브 스토리 외전. 탤랜트 엄정화
씨의 캐릭터 라이센스.
19??.?? 트레곤 - 외계인.
1998.__ 호빵맨 - 만화의 오락화. 저연령층을 목표로 함.

/생각보다 많은 판매고. 동급생류의 매니아성 오락을 만들고 매니아들에게는
꽤 인기도 있었음. 게임 정품 사용자들에게 실제 모델을 고용해 캠퍼스 러브
스토리처럼 사귀는 미팅 이밴트도 열었음.

__네스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영웅신화

__넥슨 Nexon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4.12 주식회사 넥슨창립.
1995.05 초고속 정보통신사업 기술 개발 사업자 선정.
1995.08 국내 최초의 Intranet Solution WebOffice 1.0 개발.
1996.04 세계최초 Graphic Mud Game "바람의 나라"를 개발.
1996.12 정보통신부 선정 "우수 신기술 보유업체" 지정.
1998.07 그래픽 머드 게임 NEXUS 미국 현지 상용화.

o.제작게임
1996.04 바람의 나라 - 세계(!) 최초의 머그라고 주장. 만화가 김진씨의 만화
바람의 나라를 머드화.
1997.10 어둠의 전설 - 머그. 쿼터뷰. 마이소시아 대륙을 배경으로 7명의
신들과 마왕이 벌이는 100년 싸움.
1998.07 NEXUS - 머그. 미국 현지 상용화.

/웹구축 전문회사. IBM 유공 삼성 동성 대우 네츠고브라우저 등 국내 다수
대기업들의 웹 업무를 구축했고, 월트디즈니의 웹을 구축했다. 게임 제작에
있어서는 그래픽 머드계를 혁신적으로 이끌어 왔음.

__노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디지털 임팩트사의 내부. 디지털 임팩트를 참조.

__뉴에이지 NEWAGE TEAM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대마성 - MSX. 버블보블식의 한화면 클리어식 게임. 공주 구출 기사.
국내 최초의 MSX 매가롬 게임. 판매 토피아.

/제작진의 대부분이 판타그람으로 이어짐.

__다우정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1.?? 아기공룡둘리 - MSX, SEGA MARK-1000(?) 아케이드.
1992.?? 둘리부라보랜드 - 패미콤. 아케이드.

/8bit 시절 가정용 게임기 시장에 드물던 국내 회사.

__단비 시스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3.08 설립.
1994.12 한국정보문화센터 주최 1회 컴퓨터 게임 시나리오 공모전 최우수상.
1995.03 '95 한국 PC게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시상식 일지매전 최우수상.
1997.06 주식회사 전환.
1997.08 포스텍창업투자주식회사로부터 벤쳐기업선정 투자 1호 선정.

o.제작게임
1994.01 고고 우리별 - 국내 최초 2인용 슈팅게임. 구면체 진행. 판매 LG.
1994.10 일지매전 만파식적편 - 액션 아케이드. 2인용. 판매 LG SOFT.
1996.04 마이러브 카오스 대작전 - 액션. 3인용. 이충호씨의 만화를 게임화.
통신 플레이 지원(6인용).
1997.02 까꿍 - 격투액션 + 육성시뮬성. 이충호씨 만화를 게임화. 판매 삼성.
1997.12 뱀프*1/2 - 격투액션. 박찬섭씨 만화를 게임화. 판매 삼성.
1998.__ 12지 전사
1998.__ 다이어트 고고

/왕가의 계곡, 마성전설, 폭스레인져 박스레인져 등의 국내 초창기 개척 프
로그래머셨던 사장 김성식 씨의 이끔아래 국내 만화계와의 연동으로 만화의
오락화를 많이 해낸 회사. 메마른 국내 게임시장에 단비가 되고자 노력. 멀티
미디어 사업을 확장하여 게임및 교육용 소프트웨어와 에듀테인먼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 오늘도 밤낮으로 노력. 98년도에 업소용 시장에 뛰어
들것이라고 발표.

__데니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89.03 윈디얼 설립.
1990.06 사내 연구소 설립 운영.
1992.03 과학기술처 지정 기업 부설 연구소 인가.
1992.11 병특선정. 29회 무역의날 산업포장. 유망중소기업 선정(외환은행).
1993.10 자본금 2억원 증자.
1994.05 선진화기업 선정(상공부). 데니암으로 상호 변경.

o.제작게임
1995.06 다크사이드 스토리 - IBM. ARPG. final fight식 아케이드. 약간의 어
드밴쳐성. 개발 손노리 in 데니암, 유통 SKC.
1995.10 고고퀴즈 노래스톱 - 업소용. 음악 듣고 노래를 맞추기.
1996.07 크로키 - 업소용. 노노그램(네모네모로직) 퍼즐.
1996.10 로직프로 - 크로키의 일본수출 타이틀.
1997.04 Karian Cross - 업소용. 대전 테트리스형 퍼즐.
1997.05 복오리 - 업소용. 복권 룰렛식의 도박오락. 일어판은 ASIAN LOTTERY
1997.06 Propose - 업소용. 상하이식 미소녀 관람 퍼즐.
1997.07 로직프로2 - 업소용. 크로키의 2탄. 일본에만 수출.
1998.__ 로직프로 - 플스판.

o.번역게임
1997.04 보물을 찾아라 - 혼합 퍼즐 메들리. 3차원 엔진. 2인용.
SystemSEGA ST-VDate 세가 게임의 번역.

/대표 정광현씨. 업소용 시장에서 자리매김을 잘해내고 있는 회사. 최근에 선
보인 게임들은 일러스터와 디자이너를 잘 써서 외관이 아주 뛰어나다.
홈페이지: http://www.deniam.com/

__동서게임채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 연혁
1986.?? 동서산업개발 설립.
1989.?? 동서 게임 채널 상호화.

o.제작게임
19??.?? 달려라 코바 1 - 아케이드.
1996.?? 달려라 코바 2 - 아케이드.
1995.?? 광개토대왕 - 전략시뮬 게임. 듄2 아류. 높은 홍보율.
1998.02 삼국지천명 - 전략시뮬 게임. 고우영씨의 만화 삼국지 캐릭터 이용.
19??.?? 삼국지천명 미션팩 손권의 야망.

o.번역게임
19??.?? 어둠의 씨앗
19??.?? 주시자의 눈 - SSI사. RPG.
19??.?? 다크포스 - LUCASARTS사. 액션.
19??.?? 성경이야기 - EVERBRIGHT SOFTWARE사. 1992년도 작품.
19??.?? 심시티 - MAXIS사. 도시 행정 시뮬레이션.
19??.?? 꼬마박사 아디부 - 어린이 교육용 게임.
19??.?? 어둠속의 나홀로2 Alone in the Dark II - 3D 공포 액션 어드밴쳐.
19??.?? 죠크행성 - 인터콤사. 어드밴쳐.
19??.?? 승리의 V - 전략시뮬.
19??.?? 웨트랜드 - 액션 어드벤처.
19??.?? 키란디아의 전설 - 원작 WestWood. 어드밴쳐.
19??.?? 죽음의 달빛 아래서 Under a killing moon - ACCESS사. 인터엑티브
무비 어드밴쳐 게임.
19??.?? 스톤키프 - 던젼 RPG.
19??.?? 윙 커맨더 3 - 오리진사. 우주 전투기 액션 시뮬.
19??.?? 원숭이 섬의 비밀 3 - LUCASARTS사. 어드밴쳐. 농후한 코믹성.
19??.?? 윙 커맨더 아마다 - 오리진사. 우주 전투기 액션 시뮬.
19??.?? 던젼마스터 2
19??.?? 메탈 앤 레이스 - 메가테크사. 시뮬 & 성인 요소가 곁들여진 로봇 격투.

/초기에는 많은 유명 외국 게임들을 수입 판매하여 크고 곧 게임 제작을 시작
하였다. 초기에 불법 복제 방지를 위한 많은 운동을 벌였고 통신 동호회 자료
실의 상용 자료를 모두 고발해서 여러가지로 화제거리가 되기도 했고, 수입
게임의 판매 사무에서 사용자들의 욕을 먹기도 했다. 제작사로서는 광개토 대
왕으로 워크레프트식 시뮬게임의 국내 장을 열었고 이어 삼국지천명으로 꽤
성과를 얻었다. 국내 게임계와 캐릭터 시장계를 접목한 개척자 계열.
홈페이지: http://www.dsnet.co.kr

__동성조이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수퍼트리오 - PC. 횡스크롤 액션.
19??.?? 타이니골램 - PC. 횡스크롤 슈팅. 제작 DSP팀, 판매 동성조이컴.
19??.?? ThingQ - 오셀로식 퍼즐. 유통 KOGA.

__드라곤 플라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운명의 길 Tour of Duty - RPG.
1997.06 카르마 - RPG. 윈95 DIRECTX. Final Fantasy 식. 국내 최초 폴리곤 RPG.
신에 대항하는 주인공의 운명. 유통 SKC.
1998.__ 벨피어기스나이트 - RPG. 유통 SKC.

__드림테크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 매듀사 - 바둑게임.

__디지탈 임팩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에일리언 슬레이어 Alien Slayer - 네트워크 액션 RPG. 제작 Nora 디
지탈임팩트 in 카마 엔터테인먼트.
19??.?? Rustria 연대기 - 제작 Nora in 디지탈임팩트.
1998.__ 신검의 전설 3 - RPG. 제작 Nora in 디지탈임팩트.

/엑스타시의 남인환씨가 팀장.
홈페이지: http://nora.impact.co.kr

__디파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펜타스톤 - RPG. 판매 SKC. 출시되지 않음.

__리버힐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__ 리프레인 러브 - 연애시뮬. 제작 리버힐 in 카마. "수"가 노래.

__리틀풋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일몰. 듄2식 액션 시뮬. 발매 KOGA.

__마리 텔레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07 설립.
1995.?? 유망중소기업 선정(중소기업진흥공단)
1996.?? IR52 장영실상 수상
1997.?? 유망벤쳐기업전시회 참가

o.제작게임
19??.?? 단군의 땅 - 국내 최초의 상용 서비스 머드.

/국내 최초의 머드 상용 서비스 회사. 1990년 일부 과기대생들을 중심으로 머
드 게임이 개발되어 1992년 KIT Mud가 정식으로 서비스되었고 이것이 현재의
마리텔레콤의 전신이 됨. 무한대전 머드도 서비스하고 있다고 함.
홈페이지: http://prosme.etri.re.kr/~maritel/

__막고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2.01 막고야 창립.
1992.03 국내 최초 VGA칼라 게임 세균전 출시.
1995.09 막고야 법인 전환.
1995.09 통산 산업부 중소기업 진흥공단 유망중소기업 선정.
1996.01 숭의여전과 산학협동 협약 체결.
1996.05 세균전95 미국 수출.
1996.06 정보통신부 정보화촉진기금 사업자 선정 & 자카토 만 대만 수출
1996.07 정보통신부 산업기능요원 지원요청

o.제작게임
1992.03 세균전1 - 오셀로식 퍼즐. 인공지능. 꽤 성공. 국내최초 VGA칼라게임.
1992.08 요정전사 뒤죽 - 액션형 RPG. 요정세계를 마왕으로부터 구하려 화염
구슬을 찾아떠남. 5스테이지.
1992.10 슈퍼 세균전 - 세균전의 2탄.
1993.08 원시소년 토시 - 액션형 어드밴쳐. 국내 최초의(?) 만화의 오락화.
1994.12 전륜기병 자카토 - 슈팅. 시뮬성 가미. 다중 스크롤. 14스테이지.
1995.02 세균전 95 출시 - 학습모드 가능.
1995.12 자카토 만 Mann - RPG. 게임속으로 들어가버린 주인공. 알파채널기술.
1997.03 세균전 X - 엘렉스와 맥킨토시 버전 출시. 뛰어난 그래픽적 향상.
1997.05 세균전 X - WINDOWS95용 출시. & 네트워크 버전 개발.
1997.05 CHICK CHICK - 달걀고치 for Win95. 다마고치류.
1997.11 제3지구의 카인 - RPG. 4중매핑 - 다층 맵 기법.
1998.07 하르모니아 전기 - SRPG 실시간 시뮬성 RPG.
1999.__ 폭소대출동 - 시사슈팅. 업소용.
1999.__ 하르모니아 전기 외전 - SRPG 실시간 시뮬성 RPG.
1999.__ 코스믹 블라스트 - 전략 시뮬.

o.번역게임
19??.?? 폭소 아프리카 탐험 2 - 원작 대만.
1997.10 수호전 - 액션. 원작 대만 PANDA사. 3인플레이 가능.
1997.11 블루마블 Ⅱ - 보드게임. 원작 대만 PANDA사. 네트워크 지원.
1997.11 봉봉파라다이스 - 건 슈팅. 원작 대만 EMAG사.

/간단한 게임을 주로 만들어온 막고야는 큰 성공을 한 대작은 없지만 흔한
슈팅을 배제하고 여러 장르를 손대고 도전하며 자신의 분야를 확고히 하고
완성도 높은 게임을 보여왔다. 최근에는 RPG에 주력하고 있다. 게임외에
미디스타(음악용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도 제작.

__만트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4.?? 이스 II 스페샬 YS II Special - RPG. YS의 NameLicense하에 자체제작.
본격적인 국내 RPG개척기여서 의미가 많음. 많은 버그, 패치와 원본
시나리오의 마구잡이 변형으로 혹평받기도.
1998.__ 랩소디언 어택컬러 - RPG.

o.번역게임
19??.?? 프린세스 메이커 I - 가이낙스사의 육성시뮬을 번역.
19??.?? 제노사이드2 - x68000판 제노사이드를 리메이크. 음악 탬프.
19??.?? 프린세스 메이커 II - 가이낙스사의 육성시뮬을 번역.
1998.04 프린세스 메이커 III - 가이낙스사의 육성시뮬을 번역.

/홈페이지: http://www.mantra-inc (1998.08 현재 접속않됨.)

__메디아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08 회사 설립.
1995.10 미국 MAXIS와 독점 판매권 계약.
1995.10 수출업무 개시(건축자재 등).
1996.01 개발팀 설립.
1996.03 해외 합작 회사 설립(건축 관련).
1996.07 레포츠 사업 개시.
1996.08 영국 ANCO와 독점 판매권 계약.
1997.01 인터넷 사업 개시.
1997.02 영국 STUDIO 3DO 와 독점 판매권 계약.
1997.07 TONY LA RUSSA BASEBALL 4

o.제작게임
1997.10 붉은악마 - 축구 스포츠. 시뮬성. 안코사와 공동개발.
1998.?? 붉은악마 2

o.번역게임
1995.12 심타운
19??.?? 스트리트 오브 심시티 - 도시 행정 육성 시뮬레이션. 원작 MAXIS.
19??.?? 아미맨 - 실시간 액션 전략 시뮬. 원작 3DO.
19??.?? 심아일 - 섬 시뮬레이션. 원작 MAXIS.
19??.?? 심콥터 - 헬리콥터 제작 시뮬레이션. 원작 MAXIS.
19??.?? 심파크 - 공원 조성 시뮬레이션. 원작 MAXIS.
1997.02 HEROES OF MIGHT & MAGIC II
1997.09 심시티 2000 한글판 - 원작 MAXIS (재출시).
1997.09 정글파크 - 원작 일본 DIGITAL LOGUE.
1998.02 업라이징 UPRISING - 액션 전략 시뮬. 원작 3DO.
1998.__ 심시티 3000 - 도시 시뮬레이션. 원작 MAXIS.
19??.?? 패닉솔져 - 전략 시뮬. 원작 MAXIS.
19??.?? 마이트 앤 매직 6 - RPG. 원작 3DO.
19??.?? 웨이지 오브 워 - RPG. 원작 3DO.
19??.?? 리퀴앰 - 액션. 원작 3DO.
19??.?? 심골프 - 스포츠 시뮬. 골프. 원작 MAXIS.
19??.?? 킥 오프 96 - 스포츠. 축구. 원작 ANCO.
19??.?? 킥 오프 97 - 스포츠. 축구. 원작 ANCO.
19??.?? 토니 라 루사 베이스볼 4 - 스포츠 시뮬. 야구. 원작 MAXIS.

/게임개발 수입을 주축으로 인터넷 사업, 무역사업 등 다각적인 사업을 벌이
고 있음. MAXIS사, 3DO사, ANCO사의 많은 오락을 한글화 함.
홈페이지: http://www.mediasoft.co.kr/index.html

__미리내 소프트 웨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87.02 미리내 소프트웨어 창립.
1988.03 국내최초(최초의 패키지 판매 게임) 게임제작 (그날이 오면1-msx1).
1994.03 한국pc게임 개발협회 회원.
1994.07 법인 전환.
1994.10 KBS방송용 게임 제작 프로그램 업체 선정(생방송 게임 천국).
1995.03 팬택 출자참여 (40%출자).
1995.03 무궁화 위성 발사기념 게임 S/W개발 업체 지정. (한국통신).
1995.04 민간 상업 DB개발업체 지정 (한국통신).
1995.04 '유망 중소 정보통신 기업'지정(체신부/ETRI/한국통신).
1995.10 게임저작도구 (대장간) 개발업체 지정 (문화체육부).

o.제작게임
1988.03 그날이 오면 1 - MSX. 슈팅. 국내 최초의 상용게임(?). 1탄은 개발
도중 중단되었다는 말이 있음 (맞는지?).
1989.09 그날이 오면 2 - MSX. 국내 최초 해외시장진출.
1993.03 그날이 오면 3 - IBM(DOS). 슈팅.
1993.11 아파차차 - IBM(DOS). 원더보이식 아케이드.
1994.06 그날이 오면 4 - IBM(DOS). 슈팅(횡).
1994.10 방송용 게임(KBS)개발.
1995.01 그날이 오면 5 - IBM(DOS). 슈팅(횡). 국내 최초 3D텍스쳐 게임 주장.
1995.05 이즈미르 - 로보트 슈팅. 3차원 백뷰식.
1995.12 망국전기 - RPG. 성공작. 시나리오 공모전 응용.
1995.12 풀메탈자켓1 - 전방향 자유 스크롤식 탑뷰 탱크 메카 아케이드.
1995.12 운명의 결전
1995.12 파이터 ~영웅을 기다리며~ - 대전격투. 최초의 MUG(?).
1996.01 아마게돈
1996.01 으라차차
19??.?? 카트레이스
19??.?? 사이버 폴리스 - 아케이드. 유통 한국통신. (무궁화호 발사 기념).
19??.?? 나무꾼이야기 - 고블린시리즈의 아류작.
19??.?? 풀메탈자켓2

/한시절을 풍미하는 회사였으나 제작진들의 고령화로 최근 발전성이 없다는 평.
그날이 오면 3, 망국전기가 판매고를 좀 올렸으며 그외 많은 슈팅과 아케이드
를 제작했다. 긴 역사와 성공적인 판매로 인정받는 회사. 문화체육부의 국내 게
임 제작 활성화를 슬로건으로 건 사업에 게임제작툴 제작회사로 선정되어 대장간
이라는 CD-ROM이 전국 각지에 배포되었었다.
홈페이지: http://www.mirinae.co.kr (1998.08.22 현재 접속 안됨)

__밉스. MiPS SOFTWAR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천공천기 - 액션(횡스크롤). 3D 그래픽 사용.
19??.?? Fly2020 - 슈팅. 3D 그래픽 사용.
19??.?? CAMPUS HEROES
1997.?? 시티버스터 - 출시되지 않음.
1997.?? 더 라스트 헤비미션 - 3D 액션. 출시되지 않음.
19??.?? RPG메이커(?) - 8용신 전설의 제작툴. 출시용이 아님.
1998.02 8용신 전설 - RPG. 개발 가람과바람 in 밉스(판매).
1998.__ 8용신 전설 침묵의 레브로스 - 대전격투.

/8용신 전설 제작팀과 불화가 있었다든지, 연령 낮은 제작진층에 대한 영업
자들의 자세 등으로 구설수에 오르는 등 98년 현재 좋지 않은 이미지가 많은
상태이다.

__비스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2.03 설립.

o.번역게임
19??.?? 수호전 1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수호전 천도 108성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앤젤릭 스패셜 - 원작 일본 코에이.
19??.?? 삼국지 5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삼국지 리턴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대항해시대 2 - 항해 RPG 어드밴쳐. 원작 일본 코에이.
19??.?? 에미트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대항해시대 3 - 항해 RPG 어드밴쳐. 원작 일본 코에이.
19??.?? 삼국지 영걸전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삼국지 공명전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 삼국지 6 - 역사전략시뮬. 원작 일본 코에이.
1998.__ 대항해시대2외전 - 시뮬레이션. 원작 일본 코에이.

/삼국지 등 코에이의 게임을 수입, 번역하는 등 게임 산업말고도 출판, 취업
정보, 생태계정보, OA 등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홈페이지: http://www.bisco.co.kr

__빅콤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4.09 왕중왕 - 2인 대전 격투.

/김갑환씨가 사장. 업소용 오락과 하이퍼 네오지오 64를 취급함. 꽤 많은
업소용 오락을 개발했음. SNK사와 관련 있는 듯.

__산니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일지매전 만만파파식적편 - RPG. 공모 시나리오를 RPG화. 제작 산니지
팀 in LG게임스쿨.

__삼성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번역게임
19??.?? Riven - 원작 브라더번더. Mist의 후속작.

__삼원 엠아이티(Samwon Multimedia Information Technology)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 VOD 서비스 및 게임 S/W 개발을 목적 설립.

o.제작게임
19??.?? 고리아스 - 슈팅

__쌍용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7.?? 전사 라이안

/대기업 쌍용의 지부.
홈페이지: http://www.ssy.co.kr/korean/pds/game/index.html

__새론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어뮤징 옴니버스

__샘슨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주센사요 - 정통 RPG라 주장. 멀티플 시나리오. 제작 샘슨 in 하이콤.

__선경 SKC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76.10 선경화학 ( 주 ) 설립

o.제작게임
1991.06 용쟁호투 - IBM용.

o.번역게임
19??.?? 심시티2000 - 한글화.
1998.__ 두근두근메모리얼 - 시뮬레이션. 원작 코나미.

/폴리에스터 필름 자체개발로 메디아 산업을 시작으로 하여 대기업으로 성장한
선경사가 영화사업, Home Video 사업, 음향사업 게임소프트웨어 등의 소프트
웨어 산업에 뛰어들며 중학수학 등 교육용 소프트 개발을 시작으로 대기업 최
초로 PC 게임소프트팀(前身은 메모리소프트팀)을 설립한후 많은 국산 게임들을
유통하고 간혹 제작, 번역하기도 하며 현재의 SoftLand에 이르렀다.
홈페이지: http://www.skc.co.kr/game.htm

__성진 멀티미디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아담 - 워크레프트식 액션 전략 시뮬.

/대표자 안기현씨. TEL : (02)209-3805 FAX : (02)209-3815

__세노리 게임제작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도깨비가 간다.
19??.?? 돌아온 영웅 홍길동

__세미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어쩌구 야구?
19??.?? SD 화이터?

__세한상사 재미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원시인 (토토) - MSX.

o.번역게임
19??.?? 형제의 모험 - MSX I. 마리오 브라더즈의 복제판 오락. 국내 최초의
MSX 상용 판매 게임(?미확인).
19??.?? 뉴보글보글 - MSX I. 버블버블의 복제판 오락.
19??.?? 그린베레 - MSX. 액션. 전우4명 구하려 뽕맞고 적진에서 수백명을
죽이는 칼한자루의 청춘. 코나미 게임 따라만들기.
19??.?? 더블드래곤 - MSX. final fight식 주먹 액션. 테크논꺼 따라만들기.

/MSX 계에서 많은 판매열을 올리던 회사.

__소프트맥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3.12 소프트맥스 설립.
1994.06 IBM PC용 리크니스 개발. 소프트타운 발매.
1994.12 소프트맥스 법인전환.
1995.02 한국PC게임 아카데미 최우수작품상수상.
1995.07 유망중소기업선정 (통상산업부산하 중소기업진흥공단).
1995.12 산업기능요원 특례업체 선정.
1996.02 한국PC게임아카데미 대상 수상 (커뮤니케이션 그룹).
1996.12 문화체육부 게임 대상 수상 (문화체육부장관상).
1996.12 신소프트웨어 대상 게임/오락부문 (정보통신부장관상) 수상.
1997.04 정보통신부 유망정보통신기업 선정.
1997.12 SOFT EXPO' 97 S/W 수출부문 공로상 수상 (정보통신부장관상).
1998.03 벤처기업 승인(문화관광부).

o.제작게임
1994.07 리크니스 - 원더보이식 아케이드. RPG적 요소. 소프트타운 발매.
1995.03 스카이 & 리카 - 트윈비풍 슛팅. 유통 삼성.
1995.12 창세기전 - SRPG. 만화가 김진씨 일러스트. GM발매.
1996.09 에임포인트 - ATRPG. 유통 미원정보기술.
1996.12 창세기전2 - SRPG. 유통 HICOM.
1997.12 판타랏사 얼터너티브 노아 - 윈95. SRPG 해저 배경. 유통 HICOM.
1998.03 창세기전 서풍의 광시곡 Zephyr's Rhapsody - RPG. 유통 HICOM.
1998.__ 창세기전외전 템페스트 - RPG.
1998.__ 창세기전 플레이 스테이션 판 - RPG.

o.번역게임
1994.12 탄생 - 일본 헤드룸 IMAGE WORKS사의 육성시뮬. 한글화. 발매 삼성.
1996.05 요정전설 - 원작 일본IMAGE WORKS사. SKC 발매.

/홈페이지: http://www.softmax.co.kr/

__소프트라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7.11 아만전사록 - 리얼타임 전쟁전략시뮬.
19??.?? 포인세티아 - RPG.
19??.?? 천하무적 - 대전 액션.
1997.04 마이 프랜드 쿠 - 에스티 엔터테인먼트.
1998.?? 붉은매 - 만화 붉은매의 게임화.

/어스토니샤 스토리로 인한 손노리 팀과 불화로 좋지 않은 인식이 있음.
후에 회사 부도 때 사장의 해외 피신. 그후 에스티 앤터테인먼트로 이어지고
EnK 그룹에 합병.

__소프트액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2.?? 폭스레인저 1 - 슈팅(횡). 국내 최초 상용 IBM게임 주장. 유통 SKC.
1992.?? 박스레인저 - 슈팅(횡). SD풍.
1992.?? 박스레인저 리턴즈 - 슈팅(횡). SD풍. 유통 삼성. 출시되지 않음.
199?.?? 폭스레인저 2 - 슈팅(횡).
199?.?? 폭스레인저 3 - 슈팅(횡). 로보트로 변신.
1998.?? 어디스

o.번역게임
1998.?? 랑그릿사1 - IBM. 컨버팅.

/폭스레인져로 최초의 국산IBM게임의 서막을 열었다고 주장. 사장 남상규씨.
매스컴 플레이를 잘 활용한 편이었음. 초기의 판매고를 기반으로 그후 사업
확장. 최초에는 시장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국민들에게 국산 게임 제작의
존재를 알린 공이 있음.

__손노리 개발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2.?? 손노리라는 이름으로 팀 시작.
1993.07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인트로 데모를 하이텔에 올려 호평을 받음.
1994.07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발매 (개발 손노리 in 소프트라이).
1994.12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한국 게임 대상.
1998.02 독립 법인 손노리로 새출발.

o.제작게임
1994.07 어스토니시아 스토리 - IBM. RPG. 샤이닝포스식. 국산 RPG의 빛.
1995.06 다크사이드 스토리 - IBM. ARPG. final fight식 아케이드. 약간의 어
드밴쳐성. 개발 손노리 in 데니암, 유통 SKC.
1997.11 포가튼 사가 - RPG. 1997 한국 신소프트웨어 대상 수상. 개발의 대부
분은 손노리. 서브잡, 영업등을 판타그램에서 협조. 유통은 하이콤.
1998.__ 다크사이드 스토리 2 - 액션 어드밴쳐. 허걱, 이번엔 엄마를 찾아..
1998.__ 화이트 데이 - 어드밴쳐.

/대단히 게임을 잘 만들던 팀이었고, 어스토니샤 스토리는 당시 국산게임치고
는 화려하고 잘 그려진 그래픽과 좋은 스토리등으로 상당한 지지도와 유명세를
얻었다. 소프트라이라는 회사에 유통을 맏기다가 불화가 있었다.
IBM PC용 Nintendo GameBoy Emulator의 개발에도 참여했다고 한다. 뛰어난 제
작팀이이었으나, 역시 95~96년도 불법복제의 태풍을 직격으로 맞고 해체되었다
는 소문이 들린 2년후 독립회사로서 선보임.
홈페이지: http://www.sonnori.co.kr/
(팬클럽) http://club.sonniri.co.kr/main/index.htm

__시엔정보통신(시그마택 스튜디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4.01 시엔아트 개인회사 설립(시엔 정보통신의 전신).
1995.03 KBS 2TV 생방송 게임천국 출연 (대혈전, 비치발리볼).
1995.05 통상산업부 공업기반기술사업 선정 3D 그래픽 라이브러리 개발 참여.
1995.06 교육용 타이틀 개발 저작도구 기술 개발.
1996.01 메카닉워 - 해외수출 계약.
1996.03 정보통신부 국책기술사업 1차 선정 (초고속 통신망 3차원 에뮬레이터).
1996.05 인터넷 기반 통신엔진 TCP/ IP, IPX 네트워크 프로토콜 엔진 개발.
1997.01 게임통신용 에뮬레이터 개발착수.
1997.?? 시엔 정보통신, 시엔 유통 법인화.

o.제작게임
1994.10 이아스 - 슈팅. 난이도 조절 실패라는 평도 있음. 유통 보고월드.
1995.01 비치발리볼 - 해변의 배구. 4인용 방송용 게임.
1995.02 대혈전 - 대전 격투 액션. 유통 삼성. 최초 모뎀 플레이 지원(?).
19??.?? 슈퍼트리오 - 이대다 격투앤션.
1995.10 인투더썬 - 슈팅.
1995.11 메카닉워 - 대전 액션.
1996.01 티피의 모험 - 만화 에니메이션 삽입. 피할수 없는 영혼과의 사투.
1996.05 바바리안 - 액션.
1996.12 멘탈사이드 - 격투. 윈95.
1997.?? 천하통일
1997.?? 최후의 기회 - 어드벤쳐. 윈95.
1997.?? 인디케이트

o.번역게임
1997.05 매직더 게더링 - 한글화. 번역 및 프로그래밍 외주.

/컴퓨터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업체로서, 참신한 인재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94
년 1월에 설립. 고기술 사회를 준비할 기술력과 실력으로 회사를 키워 나감.
홈페이지: http://www.sienart.com

__시조노익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7.09 카운터블로
1998.09 카운터블로 2 에일리언 인카운터 - 전략시뮬레이션. 유통 현대세가.

/사장 김성민.

__아담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6.09 창사.
1998.?? 아담 데뷰 CD-ROM 타이틀 출시. 국내 최초의 사이버 가수.

o.제작게임
19??.?? 컴백 태지 보이즈 - 액션 아케이드.
19__.__ 미션 임파시블 - 3D 레이싱 액션. 네트워크 지원.

/PC용 CD-ROM Game, 인터넷 Online Game 개발, 홈페이지, 웹 구축 및 3D 그
래픽 기술로 토탈 디지탈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뛰어들고 있다.
홈페이지: http://www.adam.co.kr

__아둑시니노리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하프 - 어드밴쳐. 유통 지관.

__아블랙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04 아블렉스 설립
1995.11 통산부 "PC용 3차원 게임제작 환경기술개발에 관한 연구과제 개발완료
1996.10 교육전산망 (KREN) rwhois 서버 구축 및 웹을 통한 교육망 자원 관리 과제
1996.11 통산부 공기반 "분산 객체 클라이언트/서버 어플리케이션 개발
1996.12 통산부 공기반 "공압식의 체감 게임기의 개발"과제 수행 중
1997.04 정보통신부 선정 유망정보통신중소기업 선정
1997.07 대한민국 산업기술대전 통산산업부장관상 우수상 수상 (Magic Land)

o.제작게임
19??.?? 하데스 - 둠식 액션. 발매 LG.
19??.?? 아이시스 ISYS - 3D 멀티유저 인터넷게임.
19??.?? 지스의 모험 - 횡스크롤 액션. 판매 LG.

/네트워크 게임을 위한 여러가지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사업 중이다.
홈페이지: http://www.ablex.net./

__아이 투 엔터프라이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귀천도 - 영화 귀천도와의 연계.

__아이팝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__ RPG 메이커 천지창조 - RPG 게임 콘스트럭션샛.

__아크로스튜디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바리온 - 슈팅. 좋은 평가를 받았음.

__아토 atto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펑키 볼 족구 - 사이드뷰 족구 스포츠 게임.

__아트 크레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4.07 리크니스 - ARPG 원더보이식의 아케이드. 약간의 RPG성.
그라비티의 모체 아트크래프트팀(당시 in 소프트맥스)이 제작.

/리크니스의 제작진. 그라비티의 모체. 제작자 몇몇이 소트트맥스로 간 뒤
그라비티로 개명.

__아프로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제 3차 우주전쟁 - MSX. 매가게임.

/8Bit 시절에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유통 등.. 빼놓을 수 없는 유명한 회사이다.

__애니컴 인터랙티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 게임
19??.?? 블랙 캣츠 - 무비게임. 일본에 수출도 함(?).

__애플 웨어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 게임
19??.?? 머드 삼국지 - 머그 게임. 국내 최초의 머그? (최초? 넥슨사 참고).

__앤씨 소프트 NC Sof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 게임
1998.02 리니지 - 머그. 신일숙씨의 만화를 머드화한 머그 게임.

__에스앤드티 온라인 S&T On-line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 게임
1995.?? Lars the wonderer - ARPG. 원더보이 형식의 아케이드. 많은 RPG성.
제작 그라비티 in S&T ONLINE, 유통 삼성.
1996.?? 불기둥 크레센츠 ASTROCOUNTER OF CRESCENTS - 사이드뷰 액션. 사이버
펑크. 제작 오브젝트스퀘어 in S&T On line. 판매 삼성. 음악 TeMP.

__에스티 앤터테인먼트 EnK ST En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마이 프랜드 쿠 - 액션 어드밴쳐. 동환적 세계.
19??.?? 붉은매 - 만화 붉은매의 게임화.
1998.__ 붉은매 2 - 만화 붉은매의 게임화.

/소프트 라이사가 ST 앤터테인먼트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후 엔케이 그룹으로
합병.

__에이 플러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5.?? 오성과 한음 - 고블린류의 코믹 아케이드 어드밴쳐.
19??.?? 홍길동전
19??.?? 홍길동전 2 - 제작 에이플러스, 유통 LG.

__에프에이 소프트 FA SOF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FA TETRIS - MSX. 테트리스 원판과 매우 유사.

__에프원 F1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악마지대 - MSX. 횡스트롤 액션. 악마성의 따라만들기.

__에프 이 더블유 F.E.W.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6.?? 설립

o.제작게임
1996.?? 장군
19??.?? 야화
19??.?? 천상소마영웅전
19??.?? 파이터
19??.?? 도쿄야화
19??.?? 맨 앤 우먼
19??.?? 북명
19??.?? 블러디 아리아
19??.?? 천상소마 영웅전 2
19??.?? 도쿄야화 2
1998.05 브라트라
1998.08 야화 2 - 액션. 유통 웅진미디어.
1998.08 고인돌 - 액션. 유통 미디어마트.
1998.09 흑기사 - RPG. 유통 미디어마트.
1998.__ 각시탈 - RPG. 유통 미디어마트.

/웅진 미디어와 연관이..??

__엑스터시 ECSTACY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신검의 전설I - APPLE ][용 울티마식 RPG.
19??.?? 신검의 전설II - 울티마식 RPG.
19??.?? Take Back I - 윙커맨더식 우주비행전투시뮬.
19??.?? Take Back II - 개발 도중 하차.
19??.?? 신혼일기 - ? 도중 하차?
1996.?? 도지산검지림 - RPG. 개발 도중 하차.

/최초의 판매용 국산 게임이었던 애플 게임 신검의 전설1. 남인환씨가 이끄는
팀. 애플시정의 팀 이름은 XSTASY. 신검의 전설 II 라이어는 그 후속편. 국내
정서에 별로 맞지 않았다는 평가가 있었으나 국산 RPG의 성숙화를 이끌던 작품.
잘 만든편이나 불법복제의 상승기류의 타격도 있었고 여러 이유로 성공하지 못
함. 월드컵2002년 축구 다큐멘터리 등에서 MBC에게 3D 비쥬얼을 제공하기도 함.
노라 in 디지탈 임팩트와 어떤 관계인지...?

__엘지 소프트 LG SOF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85.02 금성소프트웨어 설립.
1987.12 하나워드프로세서 행정전산망용 표준으로 선정.
1988.07 하나스프레드시트 행정전산망용 표준으로 선정.
1997.01 LG 미디어와 통합. 회사명 LG 소프트로 변경.

o.제작게임
1995.09 파이어월 - 3DO Title.
997.04 스톤액스 - 시뮬레이션.
1998.__ 탈 - ARPG.

o.번역게임
19??.?? 초시공 영웅 전설 - 원작 대만.
1997.?? 빙하의 추적자 - SF 어드밴쳐.

/대기업 금성사의 소프트웨어 파트. 군대와 관공서에서 표준으로 쓰였던 하나
솔류션으로 유명하고, 국내 게임의 유통, 수입게임의 번역등을 했으며 몇몇
게임을 만들기도 하였다.
홈페이지: http://www.lgsw.re.kr/index.htm

__열림 기획(OPEN)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5.?? EXP - RPG.
19??.?? ys는 잘맞춰 - 액션 퍼즐. 객관식 퍼즐로 보드게임을 진행하며 에너지
를 모아 각국의 수상들이 대전 격투를 벌이는 게임.
19??.?? 장풍3 - 격투. 세가마크3(알라딘보이)용. 제작 시에코 발매 열림기획.
19??.?? 토토월드3 - 액션. 세가마크3(알라딘보이)용.

__오렌지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09 머털도사 - RPG.

__오메가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ButterFly - 퀴즈. 업소용. 다양한 퀴즈 퍼즐 게임 스테이지.
19??.?? EQ Man - 퀴즈. 업소용. 다양한 퀴즈 퍼즐 게임 스테이지.
19??.?? Nine Zero - 도박. 업소용. 카드놀이.
19??.?? Zeus - 도박. 업소용. 카드놀이.
19??.?? Dalmation - 도박. 업소용. 카드놀이.

/업소용 카드, 퀴즈 퍼즐 게임을 많이 제작한 회사.
홈페이지: http://users.unitel.co.kr/~omegasw (1998.08.22 현재 회사소개
및 연혁 부분이 깨져 출력됨)

__오브잭트 스퀘어 - 빠샤빠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4.10 85되었수다. - Konami 패러디슈팅 파로디우스의 패러디 슈팅.
1996.?? 불기둥 크레센츠 ASTROCOUNTER OF CRESCENTS - 사이드뷰 액션. 사이버
펑크. 제작 오브젝트스퀘어 in S&T On line. 판매 삼성. 음악 TeMP.
1997.02 삭제되었수다. - 2탄. 하이텔 게제동 1KB쇼크 1회대회 대상.
1997.12 아이스키스. - 액션 퍼즐.

/유명한 패러디 슈팅게임인 파로디우스(Konami)를 패러디한 슈팅을 만들었던
게임제작팀 in KAIST. 그후 불기둥 크레센츠에서 규모 있는 게임 제작킴으로
발전. 그후 85되었수다의 2탄인 "삭제되었수다"가 하이텔 게제동 1KB쇼크 대
회에서 우승했음. 그후 ICEKISS라는 게임도 만들었음.
홈페이지: (불기둥 크레센츠) http://cosmos.kaist.ac.kr/o2/

__유니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 제로포인트 - 건슈팅.

__윈디얼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데니암의 모체이다. 데니암 부분 참고.

__이에스티 EST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6.02 Last Laibers - SRPG. 탑뷰 방식. EST & 트리거 공동 제작.

__이오리스 EOLITH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6.04 이오리스 법인 설립.
1996.04 "3D H/W PLATFORM"개발 : 정보통신부 국책사업 게임분야.
1997.12 MOTION CAPTURE CF 작업 : 보드가드, 사이버가수 아담, 미미인형.
1997.12 RACOON WORLD, LINKY PIPE, IRON FORTRESS 개발 시판.

o.제작게임
1997.12 RACOON WORLD - 업소용.
1997.12 LINKY PIPE - 테트리스형 파이프 드림 대전 퍼즐 게임. 업소용.
1997.12 IRON FORTRESS - 종스크롤 슈팅. 업소용.
19??.?? 크사나 - 3D 격투. 출시되지 않았다는 얘기가..??
1998.?? 댄스&퍼즐 - 퍼즐.
1998.05 튜록 - 슈팅. 업소용. 3D엔진 예제로 출시.

/업소용 등 광범위한 H/W 등을 많이 개발하는 회사. 게임 제작사로서 업소용
게임도 제작하고 있슴.
홈페이지: http://www.eolith.co.kr

__임프레소 IMPRESO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7.03 문화체육부, 전자신문사 선정 이달의 우수게임.

o.제작게임
1997.02 미노의 모험 MINO'S ADVENTURE - 액션 아케이드.

__자코빈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 VIRT라는 이름으로 시작.
1996.08 사업자 등록. 스튜디오 자코빈.

o.제작게임
19??.?? 디어사이드 - 건슈팅. 개발 도중 디어사이드 3 쪽으로 통합.
19__.__ 디어사이드 투.
1997.06 디어사이드 3 DEICIDE 3 - 어드밴쳐 + 액션 슈팅. 2024년 인간에 의한
본질의 오염. 쿠테타 소재 SF. 제작 자코빈. 국내판매유통 비스코.
1998.__ DEICIDE 4 violetNexus. - 어드밴쳐. 윈95.
1998.__ ECLIPSE 鬪 [tu:] - 3D 액션 시뮬.

/대표 이현기씨. 디어사이드(신을 죽인자) 3는 미래 경찰세계를 무대로 한
액션 어드벤처. 국내 어드밴쳐계의 대작으로 평가됨. 최근에는 게임 기획에
치중하고 있음.
홈페이지: http://white.maritel.com/jacobin/index2.html

__재미시스템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7.04 아트리아 대륙 전기 - ARPG.
1998.01 이리너 - ARPG. 시나리오 공모.
1998.01 황금 인파서블 - 액션 어드밴쳐. 한국 고대의 보물을 찾아서.
1998.__ 아트리아대륙전기2 - RPG.

__조이맥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6.08 캐나다 밴쿠버에서 한국, 캐나다인 주축 그린존(GreenZone) 창단.
1996.12 이중 일부가 귀국하여 한국 소프트웨어 지원센터에 입주.
1997.03 파이널 오디세이아 문체부주최 97우수 국산게임 사전제작지원 선정.
1997.04 주식회사 조이맥스 법인등록.

o.제작게임
1998.08 화이날 오딧세이 - 전략시뮬레이션. 제작 조이맥스 in 카마.

/캐나다에서 결성한 게임 제작 그룹이 모체로서 귀국인들이 세운 게임 제작
회사. 가상 공원, 업소용 오락 제작까지도 사업을 확장할 것이라고 함.
홈페이지: http://www.joymax.com

__주윤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 본격적으로 게임 개발 재시.
1998.02 해체.

o.제작게임
1995.09 2002년 월드컵 축구 - 체감형 스포츠.
1997.03 말랑말랑파라다이스 - 퍼즐. 깜찍한 벽돌깨기. 출시 안됨.
1997.03 메크 서바이벌 - 최초의 3D 탱크 메카 슈팅액션. 시가전. 출시 안됨.
1997.10 보링 레이스 - 레이싱. 마리오카트 식.
1998.01 폭탄을 찾아라

__진영테크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7.06 모비드

__카마 엔터테인먼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5.09 카마 엔터테인먼트 설립.
1996.04 현 카마 디지털 엔터테인먼트의 모체가 되는 블루칩 연구소 설립.
1997.02 국내에서 최초로 Sony PlayStation 수입/판매.
1997.09 Sega Saturn 수입/판매.
1998.01 PC 게임 유통 시작 (KM 유통 설립).
1998.04 카마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설립.
1998.05 E3에 참가 - 파이널 오딧세이, RPG MAKER 98-천지창조, 에일리언 슬
레이어.
1998.09 ECTS '98 참가 - 레이디안.

o.제작게임
1998.?? 에일리언 슬레이어 Alien Slayer - 네트워크 액션 RPG. 제작 Nora 디
지탈임팩트 in 카마 엔터테인먼트.
1998.__ 레이디안 LEITHIAN - ARPG. 개발 가람과바람 in 카마 엔터테인먼트.
1998.__ RPG 메이커 천지창조 - RPG 게임 콘스트럭션샛. 제작 아이팝 in 카마.
1998.__ 리프레인 러브 - 연애시뮬. 제작 리버힐 in 카마. "수"가 노래.

o.번역게임
1997.?? 마법사가 되는 방법 2 - 육성시뮬. 원작 일본 TGL사.
1998.03 아마란스 3D - RPG. 원작 일본 푸가사.
1998.03 위저드 하모니 - 육성시뮬. 원작 일본 드림큐브사.
1998.03 영웅시대 - 전략시뮬. 원작 Geten 사.
1998.04 대운동회 - 스포츠 육성시뮬. 원작 일본 TGL사. 애니메이션도 있음.
19??.?? 가제트 - ???. 시뮬. 원작 시너지 사.
19??.?? 블랙매직 - 시뮬. 원작 위즈 사. 마사무네(공각기동대) 일러스트.

/대표이사 박현규씨. 95년부터 국내 게임업계 유통에서의 굵기를 더해왔다.
뷰투, 스핀(SPIN), 서영은 등의 데뷔 음반을 발표하기도 한 종합 엔터테인먼
트 지향. 해외 유수 게임회사들과 현력하며 국산게임의 해외 수출.
홈페이지: http://www.kama.co.kr

__케이시티 KC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08 날아라 슈퍼보드 - RPG.

__케이알지 KRG sof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드로이얀 - RPG. 지구인의 마지막 희망 드로이얀.
1998.08 드로이얀 더 넥스트 - ARPG. Capcom DND2 식. 유통 웅진.
1998.09 또또와유령친구들 - 액션.
1998.__ 드로이얀2 - RPG. 유통 웅진미디어.

__퀘이샤 QUASAR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02 가이스터즈 - 액션 어드밴쳐. 바이오하자드식. 유통 하이콤.

__클라리온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998.08 8.15 - 시뮬레이션. 유통 삼성전자.

__클로버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8?.?? 꾀돌이 - MSX. 솔로몬키 형식의 벽 & 열쇠 퍼즐 게임.

__타프 시스템 TAFF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6.?? 낚시광 - 낚시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 통신 서비스도 행했음.
19??.?? 낚시광2 - 낚시 스포츠 시뮬레이션 게임.
19??.?? K1 탱크 - 액션 시뮬.
19??.?? 못말리는 탈옥범 - 페르시아 왕자식 진행 후 격투 게임의 형식.

__태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4.04 설립

o.제작게임
19??.?? 영웅문 - 네트워크 RPG.

/멀티미디어 정보 통신 서비스 시스템 개발 및 구축업.
홈페이지: http://www.taewool.co.kr

__트리거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6.02 Last Laibers - SRPG. 탑뷰 방식. EST & 트리거 공동 제작.
19??.?? 충무공전 - 전투시뮬레이션.
19??.?? 패닉 솔져 - 전투시뮬레이션.
1998.03 장보고전 - 전투시뮬레이션.
1998.09 퇴마전설 - 리얼타임 ARPG. 유통 안진멀티컴.
19??.?? 충무공전 2 난세의 영웅편

/대표이사 김문규씨. 보다 좋은 게임을 우리 손으로 개발 제작하려는 이상.
우리의 역사를 게임화하여 민족혼을 기르는 게임 개발하려는 계획도 있음. 전
략 시뮬레이션을 주축으로 한 게임 소프트 웨어 개발.
홈페이지: http://myhome.netsgo.com/Trigger/

__트릭 소프트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 쥬라기 원시전
1998.__ 쥬라기원시전2 - 전략시뮬레이션. 유통 SKC.

__트윔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89.01 회사 설립.
1990.09 국내형 DB엔진개발.
1991.01 POS System전용 하드웨어개발.
1993.12 병역특례 업체지정.
1994.06 순수 국산 캐릭터 통코 게임 개발및출시.
1995.07 교육용 CD-ROM 신대철의 록 기타 스쿨 개발.
1996.02 천리안 게임동산 개발.
1998.02 PC 용 스티커 사진 자판기 "Tonko Studio" 개발출시.

o.제작게임
1992.11 파더월드 - 어드밴쳐. 국내최초 어드밴쳐(?).
1993.11 임꺽정 - 3D 액션. 미국 Apogee사와 공동 개발.
1994.06 통코 - 액션 아케이드.
1995.01 마거스 - 전략 시뮬레이션.
1996.01 통코 2 - Windows용. 액션 아케이드.
1996.07 CATCOP - 미스테리 어드밴쳐. 천리안과 공동개발. 유통 데이콤.
1996.09 오션 OCEAN - 테트리스형 인터넷 대전 퍼즐. 아이네트와 공동 개발.
1996.12 통코 3 - Windows용. 액션 아케이드.
1998.__ 통코 4 Tonko 4 - 3D 액션.

/DB엔진이나 한글 라이브러리, 여러가지 하드웨어 등 많은 분야에서 뛰고
있는 업체. 여러가지 게임 제작도 하였고 여러 회사와 합심하여 통신용 게
임도 많이 만들어 내었다.
홈페이지: http://www.twim.co.kr

__티지 엔터테인 TG Entertainment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 어쩐지 좋은일이 생길것 같은 저녁. - final fight식 아케이드.
이명진씨에 의한 만화계와의 연계.
1998.__ 라그나로크. - ARPG. 이명진씨에 의한 만화계와의 연계.

/이명진씨와의 연계로 만화의 게임화에 힘쓰고 있음.

__판타그람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87.?? 뉴에이지 게임 제작 팀 형성. 국내 최초의 메가롬게임 대마성 제작.
1994.06 판타그램 창립. 소자본 개인회사.
1995.12 지클런트 출시. 출시: 미원정보기술.
1996.04 판타그램 법인화. Game Publisher의 이상.
1996.09 Zyclunt for Windows95 일본판매.
1996.10 해외 지사 설립.

o.제작게임
19??.?? 대마성 - MSX. 버블보블식의 한화면 클리어식 게임. 공주 구출 기사.
국내 최초의 MSX 매가롬 게임. 뉴에이지 제작. 판매 토피아.
1995.?? 지클런트 - 횡스크롤 캐릭터 액션. 본격 칼부림.
1997.11 포가튼 사가 - RPG. 1997 한국 신소프트웨어 대상 수상. 개발의 대부
분은 손노리. 서브잡, 영업등을 판타그램에서 협조. 유통은 하이콤.
1999.__ 샤이닝 로어 Shining Lore - 3D SRPG. 연애 육성 RPG.
1998.__ Kingdom Under Fire - 3D 실시간 전략시뮬레이션게임. 네트웍.

/대마성을 만든 뉴에이지 팀의 많은 사람들이 판타그람으로 이어졌다고 함.
지클런트의 성공을 이어 해외 시장을 개척하여 발판을 튼튼히 하고 최근에는
손노리와 협력하여 포가튼 사가를 출시했다. 가정용 게임기와 네트워크계로
진입할 예정.
홈페이지: http://www.phantagram.com/

__패밀리 프로덕션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2.12 패밀리 프로덕션 결성.
1993.04 처녀작 복수무정 출시.
1994.07 패밀리 프로덕션 사무실 확장이전 및 사업자 등록.
1994.09 피와 기티 대만수출.
1995.03 패밀리 프로덕션 법인회사 설립 및 확장이전.
1995.11 인터럽트 미국 유럽 국내최초 수출
1996.02 게임책자 단행본 발간.
1996.05 동양그룹 계열사 투니버스(어린이 만화전용 케이블)홈페이지 제작.
1996.10 인터넷 사용자를 위한 CDROM TITLE 제작.
1997.01 패밀리 게임 파티 CDROM TITLE 제작. 그간 제작한 게임을 다 모음.
유통 한글과 컴퓨터.
1997.04 개미와 배짱이 CDROM TITLE 제작.
1997.04 꼬마 에디슨 CDROM TITLE 제작.
1997.11 한국기원 30주년 기념 CDROM TITLE 제작.

o.제작게임
1993.04 복수무정 - 페르시아왕자I식. SF 배경.
1994.04 피와기티 Py & Gity - 이대다 SD 동물 격투 액션. 유통 SKC.
1994.11 일루젼 블레이즈 Illusion Blaze - 슈팅. 미래 SF. 유통 SKC.
1994.12 레온의 모험 - 방송 게임.
1995.12 피와기티 스패셜 - 이대다 SD 동물 격투 액션. 유통 게임랜드.
1995.01 무적 인터럽트 Interupt - 로보트 슈팅. AD2041 미래 SF.
1995.05 샤키 Shakii - 일대다 격투 액션. 유통 삼성.
1995.06 급하다! 급해! - 방송 게임.
1995.09 에올의 모험 Eol - 일대다 격투 액션. 유통 게임랜드.
1995.09 올망졸망 파라다이스 - 리어뷰 슈팅. 캐릭터 매들리. 피와기티, 인터
럽트, 샤키, 일루젼블레이즈 등의 캐릭터가 주인공. 유통 게임랜드.
1996.01 디지탈 코드 Digital Code - 액션 아케이드. SF 배경. 대규모 랜더링
그래픽 데이타와 높은 프레임의 그래픽.
1996.07 피와 기티2 - 이대다 SD 동물 격투 액션. 유통 현대.
1997.01 한가족 게임 - 패밀리사와 한글과 컴퓨터사 공동 개발. 우리동네
특공대, 못말리는 왕대포, 열전 오델로, 외계인을 막아라, 카드도
짝이 있다. 등으로 구성.
1997.02 크리스탈맵 Crystal Map - 전설이 된 지구를 찾아 돌아오는 미래 SF
액션 아케이드. 유통 KOGA.
1997.03 SAF 비밀병기 - 횡스크롤 액션 아케이드. 유통 KOGA.
1997.11 에올의 환상의 섬 구출작전 - 어드밴쳐적 요소를 가미.
1997.12 영혼기병 라젠카 - RPG. 동양그룹 애니메이션의 게임화. 판권 현대.
1998.05 은색의 용병 - 전략 시뮬. 국산 게임에선 획기적인 전투방식.
1998.__ 하트 브레이커즈 - 국내 최초 3D 격투 업소용 오락.

/페르시아 왕자의 아류작인 복수무정으로 시작하였고, 피와 기티 시리즈 등
슈팅과 아케이드쪽에 다수의 작품이 꽤 유명. 상당히 판매를 올렸고 해외시장
개척도 잘함. 방송사와 연계, CDROM TITLE 제작 등, Games(게임) Edutainment
(교육) Multimedia Contents(멀티미디어 컨텐트) Internet Service(인터넷 서
비스)등 종합 Entertainment 기업으로 발전을 위해 노력.
홈페이지: http://www.familyp.co.kr

__하이콤 HICOM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88.12 회사 설립.
1997.04 이달의 우수게임 상 수상.

o.제작게임
19??.?? 주센사요 - 정통 RPG라 주장. 제작 샘슨 in 하이콤.
19??.?? 파워볼? - 매가드라이브용?
19??.?? 딩동댕 노래자랑 - 패미콤 노래방게임.
1994.?? 까치와 노래친구들 - 패미콤.
1995.?? 파워볼
1996.?? 스틸헌트 - IBM.
1996.?? 푸쉬푸쉬 - IBM. WINDOWS. DIRECTX 이용.
1996.?? 폭탄제거반 - 업소용
1996.12 창세기전2 - SRPG. 유통 HICOM.
19??.?? 가이스터즈 - 어드밴쳐. 바이오하자드와 흡사. 유통 하이콤.
1997.04 코룸1
1997.?? 던전&퀴즈 - 업소용
1997.11 포가튼 사가 - RPG. 1997 한국 신소프트웨어 대상 수상. 개발의 대부
분은 손노리. 서브잡, 영업등을 판타그램에서 협조. 유통은 하이콤.
1997.12 판타랏사 얼터너티브 노아 - 윈95. SRPG 해저 배경. 유통 HICOM.
1998.01 코룸2
1998.03 창세기전 서풍의 광시곡 Zephyr's Rhapsody - RPG. 유통 HICOM.
1999.__ 코룸3 - 개발 중

/1988년 회사 설립 후 게임 관련 상품들을 유통해 오면서 거의 같은 시기에
기업 부설 연구소를 세워 유통뿐만 아니라, 개발과 함께 게임에 관한 종합
엔터테인먼트 회사로서 발돋움. 예전 패밀리 시절부터 축적된 개발력과 노
하우로 최근 코룸 2 개발, 호평 받음.
홈페이지: http://www.gndhicom.com (1998.08.22 현재 접속 안됨)

__한겨레 정보통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6.?? 생방송 날아라 호킹 게임 - SBS에서 방영
1997.03 왕도의 비밀 - 국내 최초 폴리곤 게임이라고 주장. 7월 게임대상(?)
수상. 12월-문체부 97 대한민국 게임대상 선정(?)

1998.09 에스퍼 ESPER - RPG. 도스용. 공해세기말 개조인간들과의 사투.

__한글과 컴퓨터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연혁
1990.10 한글과컴퓨터 설립 -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95번지
1992.05 과학기술처 인정 기업부설연구소로 선정
1992.11 과학기술처 인정 병역특례 연구기관으로 선정
1994.06 미국지사 한글과컴퓨터·USA 설립
1995.07 안철수컴퓨터바이러스연구소 설립 후원

o.제작게임
1995.10 천하바둑 - 3,401국의 대국 총보와 3,094개의 기타 기보를 수록.
1996.03 천하수담 - 바둑 게임. 응창기배 세계컴퓨터대회 바둑분야 우승프로
그램. 판매 한컴.
1997.02 한가족 게임 - 패밀리사와 한글과 컴퓨터사 공동 개발. 우리동네
특공대, 못말리는 왕대포, 열전 오델로, 외계인을 막아라, 카드도
짝이 있다. 등으로 구성.

/말할것도 없이 유명한 워드프로세서 아래아한글의 제작사. 게임 제작사로서
몇가지 게임제작에 같이 참여하거나 유통하기도 했고, 게임 개발 파트를 설
립하려고도 했었다고 한다.
홈페이지: http://www.hnc.co.kr

__한텍 정보통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o.제작게임
1998.08 Crazy Raiders - 네트워크 슈팅.

/몬테쏘리 시리즈 등, 교육용 CD Title 개발을 주로 해온 업체. 최근 게임
전담 팀을 구성하여 네트워크 게임 제작에 들어갔다고 함.
============================================================
enzoy@nownuri.net

 

 

국산게임연표.txt

Posted by 롤링다이스
,

 

 

 

 

1998년 재미시스템에서 아트리아 대륙전기의 후속작을 출시한다. 흥행에는 실패했다. 

아트리아 대륙전기 2.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게임 최소 사양>
 
OS: x86 or x64 bit versions of Microsoft Windows XP/Vista/Win7
Processor: AMD/Intel dual-core processor running at 2.0 GHz
Memory: 1GB for MS Windows XP and 1.5GB for MS Windows Vista/Win7
Hard Disk Space: 1GB
Video Card: ATI/nVidia graphic card with at least 128MB of dedicated VRAM and with at least 
                DirectX 9.0c and Shader Model 3.0 support
                ATI Radeon HD 3600 series and NVIDIA Geforce 8600GT
DirectX®: 9.0c, June 2010 update
Sound: Integrated or dedicated DirectX 9 compatible soundcard.
 

<게임 권장 사양>

OS: x86 or x64 bit versions of Microsoft Windows XP/Vista/Win7
Processor: AMD/Intel dual-core processor running at 2.4 GHz
Memory: 1GB for MS Windows XP and 2GB for Vista/Win7
Hard Disk Space: 1GB
Video Card: ATI/Nvidia dedicated graphic card with at least 256MB of dedicated VRAM and 
                with at least DirectX 9.0c and Shader Model 4.0 support
                ATI Radeon HD 3800 series and NVIDIA Geforce 8800GT.
DirectX®: 9.0c, June 2010 update
Sound: Integrated or dedicated DirectX 9 compatible soundcard.
 

 

SkyDrift.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게임 최소 사양>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XP with SP2
Graphics Card: 100% OpenGL 1.3 compatible 64MB video card
CPU: 2.0 GHz Intel Pentium processor or equivalent
Memory: 512 MB of RAM
Hard Disk: 3.0 GB uncompressed disk space (+ 200 MB for Windows system file)
CD-ROM and drivers
Windows compatible mouse, keyboard and drivers
DirectX 8.1 compatible 16 bit sound card and drivers
 
 
 
<게임 권장 사양>

Operating System: Microsoft Windows XP with SP2
Graphics Card: 128 MB ATI Radeon or nVidia GeForce video card
CPU: CPU: 2.5 GHz Intel Pentium processor or above
Memory: 1 GB of RAM or above
Hard Disk: 4 GB uncompressed disk space (+ 200 MB for Windows system file)
CD-ROM and drivers
Windows compatible mouse, keyboard and drivers
DirectX 8.1 compatible 32 bit sound card and drivers
 

 

TAKEDA3.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무인도에 표류된 당신..
같은 신세의 조난자들과 협력하여
섬을 탈출해 나가야 한다.
과연,할수 있을까?


KSS사의 서바이벌 생존게임으로 미소녀가 많이 나오는 무인도 탈출 시뮬레이션으로 시작했지만 4편부터는 그 게임성이 변질되어 본격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이 되어버렸다.


한국판으로 수입될 때 노출이 있는 장면들이 거의 수정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에서의 1,2,3,R,4탄은 가슴 노출이 있지만 H씬이 없다. 참고로 15세 이용가.

 

 

무인도이야기4.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

 

 

 

 

Midgard.rar

Posted by 롤링다이스
,

 

 

 

 

 

 

 

 

 

[ 시스템 요구사양 ]
CPU: AMD Athlon or Intel Pentium III Processor
RAM: 128 Mb
GRAPHICS: 32 Mb 3D Card -100% DirectX 8.0a-compatible
HARD DRIVE:  400 Mb free disk space

 

 

StarTopia.zip

Posted by 롤링다이스
,